류홍석 일병 '피의 능선 전투'서 전사, 73년만에 가족 품으로

이종윤 2024. 5. 17. 16: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6·25전쟁에 참전했다가 '피의 능선 전투'에서 전사한 류홍석 일병의 유해가 73년 만에 가족 품으로 돌아갔다고 17일 밝혔다.

이날 국유단은 "유해와 함께 발견된 M1카빈 소총탄과 전투화 밑창 등의 유품을 통해서도 당시 치열했던 전투 상황을 짐작할 수 있었다"며 "마지막 순간까지 치열하게 전투에 임하던 중 다량의 포탄에 의해 전사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11년 발굴, 10여 년 만에 고인의 여동생과 정밀감식·유전자 검사로 확인
스물두 살 오빠, 73년 만에 팔순 넘긴 여동생 품으로… “국가와 軍에 감사”
[파이낸셜뉴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 6·25전쟁에 참전했다가 '피의 능선 전투'에서 전사한 류홍석 일병의 유해가 73년 만에 가족 품으로 돌아갔다고 17일 밝혔다. 사진은 강원도 양구서 발굴된 류홍석 일병의 유해. 사진=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제공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6·25전쟁에 참전했다가 '피의 능선 전투'에서 전사한 류홍석 일병의 유해가 73년 만에 가족 품으로 돌아갔다고 17일 밝혔다.

이날 국유단은 "유해와 함께 발견된 M1카빈 소총탄과 전투화 밑창 등의 유품을 통해서도 당시 치열했던 전투 상황을 짐작할 수 있었다"며 "마지막 순간까지 치열하게 전투에 임하던 중 다량의 포탄에 의해 전사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고인의 유해를 유족에게 전달하는 '호국의 영웅 귀환 행사'는 이날 충남 태안군에 있는 유족의 자택에서 열렸다.

여동생인 류영순(1939년생) 씨는 고인의 신원이 확인됐다는 소식에 "어린 시절, 오빠가 저를 손바닥 위에 올려놓고 흔들며 놀아주던 추억이 아직도 생생하다"며 "부모님께서 돌아가신 후에도 혹시라도 오빠가 돌아올까 봐 살던 생가를 그대로 보존하고 있는데, 오빠의 유해를 찾았다는 소식에 잠도 못 자고 울기만 했다"며 “애써주신 국방부와 국가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라고 소회를 밝혔다.

류 일병은 1931년 5월 충청남도 홍성군 장곡면에서 3남 3녀 중 셋째로 태어났다. 고등학교를 마치고 한의사로 활동했던 그는 1951년 3월 14일에 입대해 국군 제5사단 36연대 소속으로 '태기산 전투', '인제지구 전투' 등 여러 전투에 참전한 이후 강원도 양구로 이동해 피의 능선 전투에서 북한군에 맞서 싸우다 1951년 8월 27일 스물둘의 꽃다운 나이에 전사했다.

이근원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장이 17일 충청남도 태안군에 있는 유가족 자택에서 실시한 고(故) 류홍석 일병의 '호국의 영웅 귀환 행사'에서 유가족 및 관계자들과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국방부 제공
피의 능선 전투는 1951년 8월 18일부터 9월 5일까지 국군 제5사단 35·36연대와 미국 2사단 9연대가 2차례의 공격작전을 통해 강원도 양구 월운리 일대 피의 능선을 공격해 북한군 12사단과 27사단을 격멸한 전투다.

국유단에 따르면 고인의 유해는 국군 장병들이 강원도 양구군 수리봉 일대에서 발굴 작업을 진행하던 중 2011년 6월 오른쪽 넙다리뼈가 최초로 발견됐고, 주변으로 발굴 작업을 확장해 위팔뼈와 종아리뼈 등을 발굴할 수 있었다. 같은 해 10월 1차 발굴지점에서 약 22m 떨어진 곳에서 오른쪽 정강이뼈를 추가로 찾아냈다.

이후 국유단은 2022년 고인의 여동생인 류 씨를 찾아내 유전자 시료를 채취했으며, 발굴된 유해와의 유전자 대조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가족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2000년 4월 유해발굴이 시작된 이후 신원이 확인된 국군 전사자는 총 231명으로 늘었다.

국유단은 "발굴한 유해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해 시간과의 전쟁을 벌이고 있는 만큼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관심과 동참이 절실하다"고 전했다.

6·25전사자 유가족(전사자의 친·외가 포함 8촌까지)은 국유단에 전사자 유해 신원 확인에 필요한 유전자 시료 채취를 신청할 수 있다. 신청자가 제공한 유전자 정보로 전사자 유해 신원이 확인됐을 땐 포상금 1000만원을 지급한다.

이근원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장이 17일 충청남도 태안군에 있는 유가족 자택에서 고(故) 류홍석 일병의 '호국의 영웅 귀환 행사'를 갖고 유가족에게 고인의 참전 과정과 유해발굴 경과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국방부 제공

wangjylee@fnnews.com 이종윤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