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카락은 머리 위의 왕관’이라니, 도대체 무슨 소리야? [생각을 여는 글귀]

전혼잎 2024. 5. 17. 14: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편집자주시집 한 권을 읽고 단 한 문장이라도 가슴에 닿으면 '성공'이라고 합니다.

이 시 역시 2017년 등단한 이다희 시인의 신작 시집 '머리카락은 머리 위의 왕관'의 표제작입니다.

이 시집의 담당 편집자는 '시집 깊이 읽기'를 통해 "표제작인 '머리카락은 머리 위의 왕관'에 흥미를 느낀 독자라면 '입 모양을 읽었거든'과 '종과 횡과 사선으로'를 찾아 읽어보시길 권하고 싶다"고 전하기도 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다희 시집 ‘머리카락은 머리 위의 왕관’
편집자주
시집 한 권을 읽고 단 한 문장이라도 가슴에 닿으면 '성공'이라고 합니다. 흔하지 않지만 드물지도 않은 그 기분 좋은 성공을 나누려 씁니다. '생각을 여는 글귀'에서는 문학 기자의 마음을 울린 글귀를 격주로 소개합니다.
머리카락은 머리 위의 왕관·이다희 지음·문학과지성사 발행·148쪽·1만2,000원

“···인간을 꺼내놓고 부드럽게 스트레칭을 한다 / 물구나무를 서면 머리카락은 머리 위의 왕관 // 어느 시절에는 머리카락을 보이는 것이 / 흠이었다 그리고 지금도 어떤 곳에서는 / 피가 빠르게 도는 것 같다(하략)”

언젠가부터 시집을 펼쳐 들면 표제작을 가장 먼저 읽어보곤 합니다. 이 시 역시 2017년 등단한 이다희 시인의 신작 시집 ‘머리카락은 머리 위의 왕관’의 표제작입니다. 알쏭달쏭하고 뚱딴지같아 보이는 시집의 제목은 물구나무를 선 순간의 이야기였죠. 이처럼 이해하기 어려워 보이는 시집의 제목들은 시를 통해 비로소 제 모습을 드러내곤 합니다. 여기에서 오는 문학적 쾌감은 답이 정해진 수학 문제를 풀었을 때만큼 짜릿합니다.

시집 ‘머리카락은 머리 위의 왕관’은 사실 출판사 문학과지성사의 북클럽 ‘문지기’가 독자들에게 보낸 올해의 첫 시집입니다. 처음 가입할 때 여러 권의 책을 한 번에 보내주는 다른 출판사 북클럽과 달리 문지기는 두 달에 한 신간 시집을 정기 배송합니다.

문학과지성사 북클럽 문지기에서 두 달에 한 차례 정기 배송하는 시집과 시인의 편지 등의 모습. 전혼잎 기자

시집과 함께 시인의 편지, 또 ‘시집 깊이 읽기’라는 일종의 안내서도 들어 있습니다. 평소 시를 좋아하는 사람뿐 아니라 시를 읽어보고는 싶지만 시작이 어려웠던 이들도 시의 세계에 한 발 내딛게 하려는 시도입니다. 이 시집의 담당 편집자는 ‘시집 깊이 읽기’를 통해 “표제작인 ‘머리카락은 머리 위의 왕관’에 흥미를 느낀 독자라면 ‘입 모양을 읽었거든’과 ‘종과 횡과 사선으로’를 찾아 읽어보시길 권하고 싶다”고 전하기도 했습니다. 이 시들은 또 어떤 이야기를 품고 있을지 궁금해집니다.

어느덧 한창인 5월, 이 시인의 시집 한 권을 펼쳐놓고 문지기의 안내에 따라 혹은 마음 가는 대로 읽어보는 건 어떨까요. “삶은 갑자기 시가 되고 시는 돌연 일상과 연결”(김영임 문학평론가)되는 순간을 직접 만들어낼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전혼잎 기자 hoihoi@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