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are follow-up questions not allowed? (KOR)

2024. 5. 17. 13:5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KIM PIL-GYU The author is a Washington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 Ilbo. When a reporter pointed out that the special counsel described him as an "elderly man with a poor memory," President Joe Biden said he knew what he was doing as the president. When asked "How bad is your memory?" Biden replied, "My memory is so bad I let you speak."

-특검 보고서에서 당신을 '기억력 나쁜 노인'이라고 표현했는데?

"나는 대통령으로서 내가 뭘 하는지 잘 알고 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The press conference should have allowed follow-up questions and not limit the topics.

KIM PIL-GYUThe author is a Washington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 Ilbo. When a reporter pointed out that the special counsel described him as an “elderly man with a poor memory,” President Joe Biden said he knew what he was doing as the president. When asked “How bad is your memory?” Biden replied, “My memory is so bad I let you speak.”

The exchange took place between Biden and a Fox News reporter at a White House press conference three months ago. When the reporter continued asking uncomfortable questions, the president answered all questions despite his obvious displeasure. At the White House press conference, follow-up questions are normal whether they are asked to a spokesperson, the national security adviser or the president.

Other reporters with their hands raised also wait until the follow-up questions are over. I haven’t seen any reporters complaining about additional questions. Once a reporter is chosen to ask, two to three follow-up questions are guaranteed. That way, vague answers can be prevented, and reporters can “build up” questions to get the answer they want.

The topic of the questions is rarely limited. At the joint press conference after the U.S.-Japan summit on April 11, the first question to Biden was about inflation. You might wonder why such a sensitive question was asked when a leader of another country is present. But no White House official intervened or took issue. It is only at these times that reporters can ask about the president’s position on the hottest issues, in this short time they can meet.

The president may brush off some questions, but he always gives a straightforward answer. That’s a message that he is well prepared and not handled by his staff. The foreign correspondents who are used to this culture are understandably disappointed by President Yoon Seok Yeol’s press conference on the second anniversary of his presidency on May 9.

When asked how far Yoon was willing to tolerate North Korea-Russia military cooperation, he said, “Russia has long been in a good relationship with South Korea.” The BBC Seoul correspondent cynically said that Yoon practically didn’t answer her question.

President Yoon repeatedly gave irrelevant answers at the press conference. As questions were mechanically divided into four fields, journalists were unable to ask about current issues people were curious about. The press conference should have allowed follow-up questions and not limit the topics. While wrapping up the press conference, Yoon said he would create more of such opportunities. I just hope for some improvement next time.

팔로우업 퀘스천워싱턴 김필규 특파원

-특검 보고서에서 당신을 '기억력 나쁜 노인'이라고 표현했는데? "나는 대통령으로서 내가 뭘 하는지 잘 알고 있다."

-당신의 기억력은 얼마나 안 좋은 것인가? 대통령직을 계속 수행할 순 있나? "당신이 질문하도록 내버려 둘 만큼 기억력이 안 좋은 것 같긴 하다."

석 달 전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폭스뉴스 기자와 조 바이든 대통령 간에 오간 질의응답이다. 기자는 불편한 질문을 연거푸 던졌고, 대통령도 불쾌한 기색이 역력했지만 모든 질문에 답을 했다. 백악관 회견장에선 이런 후속 질문(Follow-up Questions)이 일반적이다. 상대가 대변인이든, 국가안보 보좌관이든, 대통령이든 마찬가지다.

손 치켜들고 차례 기다리던 다른 기자들도 동료가 후속 질문 들어가면 끝날 때까지 기다려준다. 또 질문 하냐며 불평하거나 핀잔 주는 경우는 보지 못했다. 한번 받은 질문권은 보통 후속 질문 2~3개까지 포함한 패키지로 인정하는 분위기다. 그래야 얼렁뚱땅 넘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질문의 '빌드업'을 통해 원하는 답을 얻을 수도 있다.

질문의 주제를 한정하는 경우도 거의 없다. 지난달 11일 미·일 정상회담 후 열린 합동 기자회견에서 바이든 대통령에게 나온 첫 질문은 '고물가 대책'이었다. 남의 나라 정상을 세워두고 뭐하는 짓인가 싶지만, 이를 문제 삼거나 간섭하는 백악관 직원은 없다. 이래야 대통령을 만날 수 있는 짧은 시간에 가장 뜨거운 현안에 대한 입장을 들어볼 수 있기 때문이다.

답하는 사람 역시 이 정도면 그냥 넘어갈 법한데 곧이곧대로 답을 한다. 그만큼 잘 준비됐고, 그래서 밀리지 않는다는 일종의 메시지다. 이런 문화에 익숙할 외신 기자들이 지난 9일 윤석열 대통령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 느꼈을 실망은 이해가 간다.

'북·러 군사협력을 어디까지 용인할 것이냐'는 질문에 '러시아는 오랜 세월 우리와 좋은 관계를 맺었다'는 정도의 답변을 들은 BBC 서울 특파원은 "(윤 대통령이) 사실상 내 질문에 답을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날 회견에선 동문서답이 여러 번 반복됐다. 4개 분야를 기계적으로 나눠 진행한 탓에 정말 궁금한 현안에 대해선 충분히 질문할 수 없었다. 후속 질문이 가능했다면, 질문 분야를 한정하지 않았다면 나오지 않았을 아쉬움이다. 회견을 끝내며 "앞으로 이런 기회 더 자주 만들겠다"고 했으니, 다음은 진일보한 기자회견을 기대해본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