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 사설업체 받아" 수상한 스마트폰…알고보니 '中 짝퉁'

경남CBS 최호영 기자 2024. 5. 17. 13: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해외 유명 브랜드를 뺏긴 중국산 짝퉁 스마트폰을 1400대나 국내에 판매한 업자가 세관에 붙잡혔다.

A씨는 지난 2022년 6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중국산 위조 스마트폰 1400여 대를 국내 대형 오픈마켓 12곳에서 구매대행 형태로 판매해 3억 원의 부당이익을 챙긴 혐의다.

세관 조사 결과 A씨는 중국산 위조 스마트폰을 해외 유명 브랜드의 리퍼브 제품으로 속였다.

A씨는 이런 중국산 짝퉁 스마트폰은 9300여 대(46억 원 상당)나 수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산 짝퉁 스마트폰, 해외 유명 리퍼브 제품으로 속여 1400대 판매
마산세관 30대 업자 송치, 5억 원 추징
중국산 짝퉁 스마트폰. 마산세관 제공


해외 유명 브랜드를 뺏긴 중국산 짝퉁 스마트폰을 1400대나 국내에 판매한 업자가 세관에 붙잡혔다.

관세청 마산세관은 관세법·상표법 위반 혐의를 받는 30대 A씨를 불구속 상태로 검찰에 송치했다고 17일 밝혔다.

A씨는 지난 2022년 6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중국산 위조 스마트폰 1400여 대를 국내 대형 오픈마켓 12곳에서 구매대행 형태로 판매해 3억 원의 부당이익을 챙긴 혐의다.

세관 조사 결과 A씨는 중국산 위조 스마트폰을 해외 유명 브랜드의 리퍼브 제품으로 속였다. 리퍼브 제품은 전시 상품이나 반품·불량품의 수리품으로, 통상적으로 새 제품보다 싸게 판매한다.

실제 A씨는 모델별로 55~158만 원 상당의 해외 정품을 약 60% 저렴한 22~70만 원에 팔았다.

A씨는 이런 중국산 짝퉁 스마트폰은 9300여 대(46억 원 상당)나 수입했다.

세관은 A씨가 운영하는 인터넷몰 문의 게시판에 'A/S의 경우 사설업체를 통해 진행해야 한다'는 글을 보고 수상히 여겨 수사에 착수했다.

이 과정에서 액정 등이 정품으로 확인되지 않아 공식 수리센터에서 A/S를 받지 못했다는 구매자의 글도 다수 확인했다.

일반인들은 쉽게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짝퉁 스마트폰이 유명 브랜드의 정품과 같은 형태의 로고와 제품 설명서를 갖고 있었다.

중국산 짝퉁 스마트폰. 마산세관 제공


이 밖에 A씨는 고가의 블루투스 스피커 등을 5천여 명에게 판매하면서 관세 등이 면제되는 가격으로 허위 신고하는 수법으로 2억 원 상당의 세금을 떼먹은 사실도 드러났다.

세관은 가산세를 포함해 A씨가 포탈한 약 5억 원을 전액 추진할 방침이다.

마산세관 관계자는 "해외직구 구매 대행업자의 관세 포탈 행위는 국가 재정 손실일 뿐만 아니라 선량한 국내 소비자에 대한 기만"이라며 "부정행위를 발견하면 관세청 밀수신고센터로 적극적으로 제보해 달라"고 강조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jebo@cbs.co.kr
  • 카카오톡 :@노컷뉴스
  • 사이트 :https://url.kr/b71afn

경남CBS 최호영 기자 isaac0421@cbs.co.kr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