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연 초저온 전자현미경, 이용자 선호도 3년 연속 1위

김태진 기자 2024. 5. 17. 11:5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의 장비 중 살아있는 세포를 '스냅샷' 찍듯 관찰하는 초저온 전자현미경이 관련 분야 연구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장비로 평가됐다.

17일 과학기술계에 따르면 한국 Cryo-EM 이용자 협의회(KOCUA)는 IBS의 Cryo-EM이 3년 연속 국내 연구진이 활용을 선호하는 장비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초연 초저온 전자현미경 300kV Cryo-EM. (IBS 제공)/뉴스1

(대전=뉴스1) 김태진 기자 = 기초과학연구원(IBS)의 장비 중 살아있는 세포를 ‘스냅샷’ 찍듯 관찰하는 초저온 전자현미경이 관련 분야 연구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장비로 평가됐다.

17일 과학기술계에 따르면 한국 Cryo-EM 이용자 협의회(KOCUA)는 IBS의 Cryo-EM이 3년 연속 국내 연구진이 활용을 선호하는 장비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Cryo-EM은 용액에 담긴 생체 시료를 영하 200도에 가까운 초저온 상태로 동결시켜 정밀 관찰하는 전자현미경이다.

빛이 광원인 일반 광학현미경에 비해 수천 배 이상의 높은 해상도를 가진다.

자유롭게 움직이는 단백질은 물론 바이러스 등 생체 분자의 3차원 구조를 원자 수준에서 규명할 수 있다. 생화학 연구 패러다임을 바꾼 공로로 Cryo-EM을 개발한 연구자들에게 2017년 노벨화학상이 수여되기도 했다.

IBS 실험동물자원시설.(IBS 제공)/뉴스1

현재 국내에서는 IBS를 비롯해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서울대, 포항공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부산대 등 9개 기관에서만 Cryo-EM 기술을 활용한 전문 분석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IBS의 Cryo-EM이 선호도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 것은 연구자 수요에 초점을 맞춰 운용 전략을 세우고 숙련된 전문 인력을 배치한 덕분이다.

IBS는 급증하는 수요에 맞춰 연구자들의 효율적인 기기 활용을 위해 가속전압 300kV 고해상도 장비와 200kV의 저해상도 장비를 모두 도입했다. 또 리서치솔루션센터를 출범해 전문적인 연구 장비 공동 활용 서비스를 운영해왔다.

IBS 리서치솔루션센터는 이미징분석자원, 초고성능컴퓨팅자원, 실험동물자원 등 3개 연구시설로 구성된다. Cryo-EM을 비롯해 고성능 현미경 9대와 유세포분석기(세포의 특징을 측정하는 장비) 등이 운영되고 있다. 올해는 형광현미경과 유세포분석기를 결합한 첨단 복합플랫폼인 ‘이미징유세포분석시스템'을 도입해 올 하반기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노도영 IBS 원장은 “리서치솔루션센터는 기초과학 핵심 인프라 구축 및 국가 연구 거점화를 위해 IBS가 구축한 대규모 연구시설”이라며 “향후 내·외부 연구자들이 필요로 하는 대형 연구시설장비를 점진적으로 추가 구축해 국내외 기초과학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려 한다”고 말했다.

memory4444444@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