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정부 2주년···우주개발 선도국가 꿈꾼다

2024. 5. 17. 11:5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박성욱 앵커>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인 우주항공청 출범이 벌써 10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우주개발 선도국가로 향하는 위대한 첫 걸음이 내디뎌지게 되는데요.

오늘 이 시간에는 우주항공청의 출범, 그 성과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황호원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정책대학원장과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연: 황호원 /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정책대학원장)

박성욱 앵커>

5월 27일, '우주항공청'이 문을 엽니다.

먼저, 어떤 계기로 마련된 곳일까요?

박성욱 앵커>

우주항공청에 대해 아직 모르시는 분들, 또는 다소 생소하게 느끼시는 분들이 많을 텐데 간단하게 설명해주신다면요?

박성욱 앵커>

우주항공청이 어떤 역할을 맡게 될지 궁금해지는데요.

박성욱 앵커>

국제적으로 달, 화성 등 우주 탐사를 통해 자원 확보와 가치 창출에 나서는 세태 속 대한민국 우주경제 실현을 위한 우주항공 전담 기관이 설립됐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는 것 같습니다.

어떻습니까?

박성욱 앵커>

전 세계 우주 패권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죠.

新우주경쟁시대 속에서 정부가 지향하는 '글로벌 우주강국'으로 나아가기 위해서 우주항공청의 방향, 어떻게 설정해야 할까요?

박성욱 앵커>

민간이 우주 개발을 이끄는 '뉴 스페이스' 시대가 도래했습니다.

우주항공청에서도 이 시대적 흐름에 맞춰 민간이 상용 우주 개발을 주도할 수 있도록 힘을 실어줄 계획이라고 밝혔는데요.

이 점에 대해선 어떻게 보십니까?

박성욱 앵커>

누리호 발사 성공과 다누리의 성공적인 궤도 안착을 통해 우리나라는 명실상부 '7대 우주강국'으로 도약했습니다.

그 의미와 성과에 대해 짚어주신다면요?

박성욱 앵커>

이제 우리나라는 7대 우주강국에 도약하기 무섭게 7대를 넘어 '5대 우주강국'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 어떤 점에 중점을 두고 추진해나가야 할까요?

박성욱 앵커>

윤 대통령이 '우주경제 로드맵'을 발표한 지 1년 6개월 만에 우주항공청이 드디어 첫 발을 내디디게 되었습니다.

개청 후, 이것만은 이렇게 했으면 좋겠다... 하는 조언 및 당부 말씀 있으시다면요?

박성욱 앵커>

강대국과의 기술 격차를 좁히기 위한 우주항공청의 큰 그림이 중요해지는 시점인데요.

앞으로 어떤 계획이 필요할지, 마무리 말씀 부탁드립니다.

박성욱 앵커>

지금까지 황호원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정책대학원장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K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