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디지털 자료 48만건, 무료 공개 됐다

도재기 기자 2024. 5. 17. 11:4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가유산청, ‘국가유산 디지털 서비스’통해 개방
국가유산들의 원형기록·3D데이터·VR콘텐츠 등
국가유산 디지털 자료 48만여 건이 공개된 ‘국가유산 디지털 서비스’ 초기 화면. 국가유산청 제공

국가유산청(옛 문화재청)이 생산·축적해온 국가유산(문화재) 원형 디지털 데이터와 콘텐츠 48만여 건이 전면 무료로 개방됐다.

17일 문화재청이 재출범한 국가유산청은 “‘문화재’에서 ‘국가유산’ 보존·관리·활용 체계로의 대전환을 맞아 그동안 생산·축적해온 국가유산 원형(원천) 디지털 데이터와 콘텐츠 등 약 48만 건을 ‘국가유산 디지털 서비스’를 통해 누구나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전면 무료 개방한다”고 밝혔다.

국가유산 디지털 서비스에 공개된 ‘종묘 영녕전’의 일부 자료들. 사진 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종묘 영녕전의 사진자료, 3D 모델, 도면, 360도VR 이미지. 국가유산청 제공

이번에 무료 개방되는 데이터와 콘텐츠는 ‘원형 데이터(국가유산 3D 정밀데이터)’, 게임·영화·엔터테인먼트 등 디지털 콘텐츠 산업분야에 접목해 활용가능한 ‘국가유산 3D 에셋’, 세계유산과 자연유산·무형유산 등을 고해상도 영상과 가상현실(VR) 콘텐츠로 제작한 ‘테마 콘텐츠’ 등이다. 이들은 국가유산청이 그동안 국가유산의 훼손이나 멸실에 대비해 생산·구축한 ‘원형기록 데이터베이스(DB) 구축 사업’의 결과물들이다.

‘원형 데이터’는 각 국가유산들을 초정밀하게 기록한 3차원(3D) 데이터와 도면·사진·보고서·영상 등으로 구성됐다. 초정밀 원형 데이터는 국가유산 복원과 보존관리는 물론 3차원 출력(3D프린팅), 디지털 콘텐츠 산업 등에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국가유산청은 기대한다.

‘국가유산 3D 에셋’은 천년 고도인 신라시대 왕경의 역사문화환경을 디지털 콘텐츠로 재탄생시킨 ‘천년 신라 왕경’, 조선시대 궁궐 건축과 관련 소품을 담은 ‘조선시대 궁궐 문화’, 조선시대 가옥과 소품 등으로 구성된 ‘조선시대 생활문화’, 명승과 천연기념물인 자연유산을 다룬 ‘자연유산 문화경관’ 등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글로벌 플랫폼인 ‘언리얼(Unreal) 마켓플레이스’, ‘유니티(Unity) 에셋스토어’, ‘스케치팹(Sketchfab)’을 통해서도 이용할 수 있다고 국가유산청은 밝혔다.

국가유산 디지털 서비스에 공개된 ‘무형유산 다큐영상- 대금정악 조창훈’(왼쪽)과 ‘한반도 자연유산 VR- 해남 우항리공룡·익룡·새발자국 화석산지’. 국가유산청 제공

‘테마 콘텐츠’는 무형유산 다큐영상, 가상현실(VR)로 만나는 한반도 자연유산, 한국의 세계유산 3D 영상 등으로 이뤄졌다.

‘국가유산 디지털 서비스’는 정부기관에서는 최초로 기가바이트 단위의 대용량 디지털 데이터 내려받기 서비스를 공공부문 민간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제공하는 지능정보 서비스다. 국가유산청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간편인증 및 기기 종류에 따라 화면 크기가 자동으로 최적화되는 반응형 웹 적용을 통해 컴퓨터, 모바일, 태블릿 컴퓨터 등 다양한 환경에서 누구나 쉽게 접속할 수 있다”며 “향후 국가유산청과 소속기관에서 생산되는 국가유산 데이터와 콘텐츠의 통합·확장도 쉽도록 구축됐다”고 밝혔다.

국가유산청은 “국가유산의 활용과 관련 산업 진흥을 위해 앞으로도 산업적 측면에서 활용 수요가 높은 국가유산 디지털 데이터 및 콘텐츠 서비스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도재기 선임기자 jaeke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