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진식 “韓 경제계에 대한 美 긍정 여론 조성 필요”

2024. 5. 17. 11:2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윤진식 한국무역협회(KITA) 회장이 취임 이후 첫 대미 아웃리치(물밑접촉) 활동을 전개했다.

17일 무역협회에 따르면 윤 회장은 지난 13일(이하 현지시간)부터 미국 워싱턴 D.C.에서 상무부, 상·하원의원, 싱크탱크 등 유력인사를 만나 한국 기업의 미국 경제 기여를 강조하며 공급망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취임 후 첫 대미 아웃리치 활동
美 행정부·의회 주요 인사 면담
공급망 협력·통상 애로 등 논의
윤진식(왼쪽) 한국무역협회 회장이 1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짐 조던 하원 법사위원장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제공]

윤진식 한국무역협회(KITA) 회장이 취임 이후 첫 대미 아웃리치(물밑접촉) 활동을 전개했다.

17일 무역협회에 따르면 윤 회장은 지난 13일(이하 현지시간)부터 미국 워싱턴 D.C.에서 상무부, 상·하원의원, 싱크탱크 등 유력인사를 만나 한국 기업의 미국 경제 기여를 강조하며 공급망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윤 회장의 이번 방문은 오는 11월 미국 대선을 앞두고 민간 차원에서 현지 정·재계와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한편 우호적인 대미 통상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다. 같은 기간 류진 한국경제인협회 회장도 미국을 방문했다.

이번 아웃리치에는 윤 회장과 더불어 메타바이오메드, 엑시콘, 주성엔지니어링, TCC스틸 등 바이오·반도체·철강·이차전지 등 각 분야의 중소·중견 기업인 10여명이 동행했다. 윤 회장 일행은 양국 협럭 확대 방안은 물론 우리 기업의 통상 애로 및 우려 사항을 전달하고 ‘한국 동반자 법안’의 지지를 호소했다.

윤 회장은 지난 13일 미 상무부 돈 그레이브스 부장관을 만나 수입규제·철강 쿼터 등 국내 기업 애로를 전달하고 협조를 당부했다. 이어 15일에는 짐 조던 하원 법사위원장과 바트 고든 전 하원의원, 존 포터 전 하원의원 등과 면담을 가졌다.

윤 회장은 “한국과 미국은 반도체·전기차·배터리 등 첨단산업 공급망 협력의 핵심 파트너로서 양국의 공조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하고, 주요 산업의 대미 투자 확대에 따른 미국 내 전문 인력 수급 확대를 위해 ‘한국 동반자 법안’의 지지를 거듭 요청했다.

같은 날 저녁에는 워싱턴 D.C. 소재 국제스파이뮤지엄에서 조현동 주미한국대사, 데럴 아이사 하원의원, 조 윌슨 하원의원 등 미 정부·의회 및 싱크탱크 관계자 300여명을 초청해 ‘KITA 네트워킹 리셉션’을 개최했다. 아울러 윤 회장은 미국 대표 싱크탱크인 공화당계 헤리티지재단, 민주당계 브루킹스연구소를 방문해 한미 경제·통상 현안과 협력 강화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윤 회장은 “대선을 앞두고 한미 공급망 협력의 미국 경제 기여를 미국 전역에 알리면서 한국 경제계에 대한 긍정적 여론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며 “조만간 다시 미국을 찾아 우리 기업의 주요 투자 지역의 주정부를 방문해 투자 활동을 지원하고 양국 간 공급망 협력을 더욱 구체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서재근 기자

likehyo85@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