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PF 구조조정에…GIC도 마포 주택개발 –58% '눈물의 손절'

류병화 2024. 5. 17. 11:2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GIC, 마포구 도화동 주택 개발 투자했다 손실 보고 매각
까다로워진 만기 연장 못이겨내…가망 없어 ‘자금 회수’
PF 구조조정 속도…개발 사업장 줄줄이 매각 이뤄질 듯
이 기사는 05월 17일 09:11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서울 마포구 도화동 도시형생활주택 개발 사업장.

국내 부동산 시장에서 ‘큰손’으로 꼽히는 국부펀드 싱가포르투자청(GIC)이 서울 마포구 도화동 주택 개발 사업을 58%에 달하는 손실을 보고 매각했다. 금융당국이 만기 연장 요건을 까다롭게 하는 등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구조조정에 속도를 내자 버티지 못하고 ‘울며 겨자먹기’로 사업장을 넘긴 것으로 풀이된다.

 국부펀드 GIC, 주택 개발에 투자했다 4년 만에 매각

17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신한자산운용은 서울 마포구 도화동 도시형생활주택 개발 사업장을 760억원에 인수한다. 기존 브릿지론 대출채권과 사업 권한을 모두 사들여 새롭게 개발 사업을 이끌어나가게 된다. 신한운용은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PF 정상화 펀드 자금을 투입할 예정이다. 캠코 PF 펀드가 활용되는 것은 이번이 세 번째다. 신한운용은 캠코 펀드의 첫 투입인 삼부빌딩에 이어 이번 인수까지 나서며 벌써 펀드 약정액의 절반 가까이를 소진했다.

이 사업장은 국내 부동산 대체투자 운용사 마스턴투자운용이 2020년 GIC의 출자를 받아 마스턴제95호도화PFV를 설립해 개발을 추진해온 곳이다. 마스턴운용은 지상 23층, 지하 5층짜리 도시형 생활주택을 짓기 위해 서울 마포구 도화동에 위치한 부지를 매입해 인허가까지 받았다. 연면적 기준 2만7083㎡(약 8192평)에 달하는 건물을 지으려 했지만 2022년부터 급속도로 부동산 경기가 냉각하면서 개발에 어려움을 겪었다.

GIC는 이 사업장에 에쿼티, 대출 등 431억원을 투입했으나 결국 180억원만 건지고 팔게 됐다. 약 58% 손실을 보게 된 셈이다. 지역 단위 농협과 신협 등으로 구성된 사업장 대주단은 브릿지론으로 대출해줬던 570억원을 모두 회수하게 될 전망이다.

“부실 사업장 정리” 정부 기조에 GIC도 “가망 없다” 판단

GIC는 국내에서 대규모로 부동산 자금을 운용하는 해외 큰손 가운데 하나다. 운용자산 규모가 7700억달러(약 1016조원)에 달하는 세계 6위 국부펀드에 해당한다.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직후인 2000년 서울 광화문 서울파이낸스센터(SFC)를 3500억원에 인수하며 한국 시장 진출을 알린 뒤 20년 넘게 부동산 큰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강남구 강남파이낸스센터(GFC), 여의도 신한금융투자 등 굵직한 부동산 투자에 나서왔다.

국내 부동산을 싹쓸이하며 두각을 나타내 온 GIC가 손실을 보고 매각에 나선 것은 금융당국이 실시하는 PF 구조조정과 무관하지 않다는 평가가 많다. 이 개발 사업장은 대주단으로부터 지난해 한 차례 만기 연장을 받아냈으나 다음달 새로 만기 연장을 앞두고 주요 대주단이 연장 불허 입장을 밝혔다. 금융당국이 지난해 말부터 ‘옥석 가리기’ 압박을 넣고 최근 PF 정상화 방안을 통해 만기 연장을 더욱 어렵게 만드는 등 구조조정에 속도를 내고 있어 대주단이 만기를 연장해주지 않는 방향으로 전환했다. 이에 따라 GIC도 더 이상 개발을 끌고 가기 어렵단 판단을 내린 것이다.

PF 구조조정 ‘속도전’…‘개발 사업장’ 줄매각 이어질 듯

앞으로 여러 개발 사업장이 손실을 안고 줄매각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당국은 PF 구조조정에 더욱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13일 PF 사업성 평가 등급을 현행 3단계에서 4단계로 세분화하는 등 PF 정리에 속도를 내는 방향으로 PF 정상화 방안도 내놨다. 2회 이상 만기를 연장한 PF 대주단협약 사업장은 이제 4분의 3 이상의 동의를 받아야 연장이 가능해진다. 또 사업성이 떨어지는 사업장에 돈을 빌려준 대주단은 금융당국에 재구조화, 경·공매 등의 개선 계획을 제출해야 한다. 

23조원 안팎의 PF 대출이 부실 우려를 안고 있어 구조조정 대상에 오를 전망이다. 금융당국은 유의·부실 우려 사업장을 전체 PF 규모(230조원)의 5~10%로 추산했다. 경·공매 대상 PF 사업장은 전국 PF 사업장 5000여개 가운데 150개 안팎에 이를 것으로 관측된다.

류병화 기자 hwahwa@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