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 소복 어머니들 눈물의 외침…민주묘지서 44주년 5·18 추모식 엄수

이수민 기자 2024. 5. 17. 11:2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제44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일을 하루 앞둔 17일 오월영령의 숭고한 정신을 기리는 추모식이 엄수됐다.

공법단체 5·18민주유공자유족회는 이날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유족과 공법단체장, 정계 등 300여 명(주최측 추산)이 참여한 가운데 5·18민주화운동 44주년 추모제를 열었다.

제례는 양재혁 5·18민주유공자유족회장과 윤남식 5·18민주화운동공로자회장, 문준희 5·18민주유공자유족회 광주시지부장이 각각 초헌, 아헌, 종헌을 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례 후 놀이패 공연,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등
강기정 시장·양재혁 유족회장 모두 '헌법수록' 강조
5·18민주화운동 제44주년을 하루 앞둔 17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5·18민중항쟁 제44주년 추모제'가 진행되고 있다. 2024.5.17/뉴스1 ⓒ News1 김태성 기자

(광주=뉴스1) 이수민 기자 = 제44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일을 하루 앞둔 17일 오월영령의 숭고한 정신을 기리는 추모식이 엄수됐다.

공법단체 5·18민주유공자유족회는 이날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유족과 공법단체장, 정계 등 300여 명(주최측 추산)이 참여한 가운데 5·18민주화운동 44주년 추모제를 열었다.

추모식은 1부 5·18민주화운동 희생자 제례, 놀이패 공연과 2부 추모식으로 나눠 진행했다.

제례는 양재혁 5·18민주유공자유족회장과 윤남식 5·18민주화운동공로자회장, 문준희 5·18민주유공자유족회 광주시지부장이 각각 초헌, 아헌, 종헌을 했다. 이후 30분간 놀이패 만월의 풍물 공연도 이어졌다.

2부는 개식선언, 국민의례, 내빈소개, 추모사, 유가족대표 인사말, 추모시 낭송,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헌화와 분향, 나눔행사 순서로 진행했다.

광주시낭송협회가 추모시를 낭송하자 흰 소복을 입은 오월 어머니들이 흐느끼며 눈물을 훔치기도 했다.

제44주기 5·18민주화운동 기념일을 하루 앞둔 17일 광주 북구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추모식 공연이 거행되고 있다. 2024.5.17/뉴스1 ⓒ News1 김태성 기자

강기정 광주시장은 "최근 5·18을 왜곡한 온라인 게임을 제보한 부산의 13살 초등학생 이호진 군이 있었다"며 "5·18을 겪지는 않았지만 5·18을 배웠고, 왜곡과 폄훼에 맞서 행동했다. 미래세대는 5·18을 배우고 기억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44주년의 우리는 또 한번의 큰 변곡점에 서있다"며 "4년간 조사를 마친 5·18진상조사위의 종합보고서가 나오면 이를 토대로 대책을 마련하겠고, 새 국회는 5·18 헌법전문수록을 반드시 실현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그러면서 "세계시민 누구나 광주의 오월을 배우고 즐길 수 있는 민중 축제도 준비하겠다"며 "그때의 광주를 지켜준, 지금의 광주에 대한 모든 시민을 마음에 새겨 한발 한발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양재혁 5·18유족회장은 "80년 5월 그날의 진실을 선명하게 기억하고 있듯이 시민들의 기록과 증언이 담긴 기록물들은 이미 세계유산에 등재돼 소중한 정신적 자산이 됐다"고 했다.

아울러 "2024년에는 오월정신을 반드시 헌법전문에 담아 시민들의 목숨을 바쳐서 지켜낸 민주·인권·평화의 정신이 헛되지 않아야 한다"며 "목숨을 던져 불의에 저항했던 오월을 폄훼하거나 왜곡하는 소모적 논쟁을 중단하고 한 마음 한 뜻으로 역사적 진실에 한걸음 더 다가가야 한다. 분열 대신 통합으로 더 나은 대한민국 되길 소망한다"고 덧붙였다.

제44주기 5·18민주화운동 기념일을 하루 앞둔 17일 광주 북구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80년 5월 당시 가족을 잃은 오월어머니들이 가족의 묘를 살피고 있다. 2024.5.17/뉴스1 ⓒ News1 김태성 기자

추모제가 끝난 뒤 유족들은 묘역으로 올라가 각자 가족의 묘를 찾았다.

故(고) 김안부 씨의 아내인 김말옥 씨는 남편에게 자식들이 결혼을 하게 됐다는 소식을 전했다. 그는 묘에 한 손을 얹고는 한참을 묘에서 떠나지 못했다.

한편 이날 오후 1시부터는 광주 동구 금남로 일대 등 도심 곳곳에서 오월풍물굿과 민주평화대행진, 오월시민난장, 전야제 등 행사가 열린다.

breath@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