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예문화 거점 '고성·전주·부안·진주'서 다양한 프로그램 선보여

유동주 기자 2024. 5. 17. 11:1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오늘(17일)부터 26일까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함께 '2024 공예주간(Korea Craft Week 2024)' 행사를 운영한다.

올해로 7회째인 '공예주간'은 공예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국민에게 알리고 일상 속 공예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매년 5월 셋째 주에 열리는 종합공예문화축제다. 도시와 일상에서 공예와 공방을 만난다는 의미를 담은 '도시-일상-공방(Urban-Life-Craft Studio)'을 주제로 전시와 체험, 판매, 강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전국에서 만날 수 있다.

문체부는 지역이 가진 특색있는 공예자원을 발굴하고, 지역민에게 일상 속 공예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공예문화 거점도시를 중심으로 공예주간을 운영할 계획이다다. 공예문화 거점도시로는 공모를 통해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부안군, 경상남도 진주시 총 4곳을 선정했다.

고성군은 지역의 역사·문화 자원을 활용한 지속 가능한 공예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송지호 해수욕장과 아야진 해수욕장에서는 버려진 재활용품을 활용해 나만의 공예품을 직접 만들어 보고, 공예주간 기간에 고성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을 위해 카페, 식당 등과 연계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전주시는 지역의 대표명소인 한옥마을을 중심으로 한지, 한복, 한옥 등 풍부한 전통문화를 활용하고, 지역 내 공방, 작가와 협업해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공예의 전통적 가치를 현대로 이어가는 장인들의 인생과 작업을 주제로 한 이야기 콘서트와 전북무형문화재 9인의 공예품을 오감으로 접근해 직접 보고 만지며 느낄 수 있는 참여형 전시를 한옥마을에서 개최한다.

부안군은 부안 청자를 핵심 자원으로 삼아 부안의 주요 명소인 내소사, 변산해수욕장, 청자박물관 등에서 공예장터, 전시, 체험프로그램 등을 마련한다. 특히 채석강의 낙조를 바라보며 전북 무형문화재 방짜유기장 이종덕 보유자가 제작한 싱잉볼을 활용한 명상 체험을 운영한다.

진주시는 관내 박물관 등 문화기관과 연계해 전통가구 제작 기법인 소목을 활용한 해주 소반 만들기 등 공예품을 직접 만들 수 있는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진주 골목골목에 있는 공방들을 방문해 각 공방만의 특색있는 프로그램을 직접 경험해 볼 수 있는 열린 스튜디오 프로그램을 준비한다. 진주 공예의 전통과 현재를 만나 볼 수 있는 공예품 전시 '공예도시 진주전'도 롯데몰 진주점에서 열린다.

아울러 공예주간에 맞춰 서울과 강원, 울산, 제주 등 전국에서도 공예의 매력을 느낄 수 있는 기획 프로그램을 내놓는다.

서울 복합문화예술공간 통의동 보안여관에서는 공예작가, 차 생산자, 차 애호가 등이 함께하는 '다함께 차차차(茶) 크래프트 티 페스티벌'이 열린다. 서울공예박물관에서는 '크래프트 앤(CRAFT &)'을 개최해 지난해 '올해의 공예상'을 수상한 김혜정 도예가, 서영희 디렉터, 허보윤 교수 등과 함께 일상의 한 부분으로 공예를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해볼 수 있다.

강원 횡성군에서는 '안흥찐빵마을 가든파티 2-우연히 마주한 공예'를 통해 초, 도예, 가죽 등을 활용한 일일 강좌와 장터를 운영하고 울산광역시에서는 한옥 공간에서 국내외 공예작가 50여 명의 작품을 선보이는 '크래프터즈(CRAFT US)'를 개최한다. 제주에서는 경기도 무형유산 제16호 장성우 한지장의 한지 제조 과정 시연, '마을 이장님과 함께하는 신효마을 공방투어' 등 지역 공방들과 지역민이 협업해 풍성한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신은향 문체부 예술정책관은 "올해 공예주간은 지역공예가와 지역민이 힘을 모아 지역의 매력있는 공예자원을 발굴하고, 지역의 문화 자생력을 키우는 데 주안점을 뒀다"며 "공예주간을 통해 여행하듯 지역 곳곳의 숨겨진 보물 같은 공방을 방문하고 일상 속 공예문화를 만끽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유동주 기자 lawmaker@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