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한국 포천에 내 나무 Ktree가 있습니다” 美 하버드대 수목원장, 국립수목원에 반하다

이은주 2024. 5. 17. 10:3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872년 미국 최초의 공립수목원으로 수립돼 전 세계에서 수집된 7000여종의 식물을 보유한 하버드대학교 아놀드수목원을 가꾸고 지휘하는 윌리엄 프리드먼 수목원장이 지난 16일 경기도 포천시 국립수목원을 찾았다.

아놀드수목원이 '1905년부터 한반도를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에서 수집한 약 590종의 한국 식물'에 대해 설명하며 당시 수집된 식물의 재도입, 생물다양성 보전과 복원을 포함한 포괄적 협력을 제안했고 국립수목원이 이에 적극 화답하며 이루어진 방문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놀드수목원 원장, 국립수목원 방문
1905년부터 韓식물 보유… 590여종
“식물·교육 프로그램 교류하고 싶다”

임영석(맨 오른쪽) 산림청 국립수목원장이 16일 경기도 포천시 국립수목원을 방문한 윌리엄 프리드먼 미 하버드대학교 아놀드수목원장에게 수목원을 소개하고 있다. 국립수목원 제공

미국으로 간 우리나라 구상나무 중 자연변이로 누운구상나무가 있다고요.”(임영석 국립수목원장)

“수령이 약 200년 정도로 가지가 지면을 따라 18m나 자란 나무죠. 다양한 나무를 잘 보존하는 게 다음 세대를 위한 수목원이 해야 할 역할입니다.”(윌리엄 프리드먼 美아놀드수목원장)

1872년 미국 최초의 공립수목원으로 수립돼 전 세계에서 수집된 7000여종의 식물을 보유한 하버드대학교 아놀드수목원을 가꾸고 지휘하는 윌리엄 프리드먼 수목원장이 지난 16일 경기도 포천시 국립수목원을 찾았다. 아놀드수목원이 ‘1905년부터 한반도를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에서 수집한 약 590종의 한국 식물’에 대해 설명하며 당시 수집된 식물의 재도입, 생물다양성 보전과 복원을 포함한 포괄적 협력을 제안했고 국립수목원이 이에 적극 화답하며 이루어진 방문이다.

“생물다양성 중요해지며 수목원 역할 커져”

아놀드수목원의 아시아 정원에는 일본, 중국, 히말라야 식물 등과 함께 많은 한국 식물들이 식재되어 있다. 이 중 18m로 구불구불 지면을 덮듯 자라 보스턴 시민의 그늘이 되어주고 있는 한국 출신 구상나무가 자연변이에 의해 그렇게 자란 것이라고 프리드먼 원장은 설명했다.

임영석 산림청 국립수목원장은 “생물다양성이 중요해지면서 식물을 보존하고 교육하는 수목원의 역할이 한층 중요해졌고, 수목원 간 교류 필요성 또한 커졌다”고 강조했다. 이어 “두 수목원의 관련 분야 공동연구를 통해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복원을 위한 국립수목원의 역할이 전 세계로 확대해 나아가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임 원장 안내로 경기도 포천의 국립수목원 곳곳을 둘러본 프리드먼 원장은 “기후위기로 인해 많은 식물 또한 위기에 처했다”면서 “다음 세대를 위해 현지 식물의 보존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화답했다. 그러면서 “두 수목원 간 협력이 양 기관 뿐 아니라 세계 식물자원 보존을 선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면서 “한국 법과 국제협약을 준수하는 범위 내에서의 활동을 통해 좋은 성과를 도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임영석(오른쪽) 국립수목원장이 16일 경기도 포천시 국립수목원을 방문한 윌리엄 프리드먼 미 하버드대학교 아놀드수목원장과 환담을 나누고 있다.

국립수목원과 아놀드수목원은 ▲지구적 차원의 생물다양성 보전과 복원 ▲종자, 식물, 표본 관련 연구프로젝트 추진 및 공동조사 ▲교육, 과학 목적의 연구 및 연수를 위한 교류 ▲교육, 보전, 연구 목적의 식물재료 공유를 협력할 예정이다. 나아가 수목원에 수집된 식물들에 대한 재도입 추진을 검토키로 했다.

“식물과 관계맺기·교육법도 교류할 것”

아놀드수목원은 또 내년 6월 국립수목원 주관으로 개최되는 ‘세계식물원교육총회’에 참석하기로 했다. 다양한 식물을 보존하는 일만큼 중요하게 취급되는 수목원의 역할이 교육인데, 이를 논의하기 위해 열리는 행사가 세계식물원교육총회다.

프리드먼 원장은 국립수목원이 보호하고 있는 식물 서식지를 둘러보며 “어메이징”이란 감탄사를 연거푸 쏟아내며 “아놀드수목원의 교육과정을 국립수목원과 공유하고, 우리도 국립수목원의 식물 교육에 대해 배우겠다”고 교류 의지를 내비쳤다. 수목원을 비롯해 주변 나무를 ‘내 나무’로 정하고 정과 마음을 나누는 캠페인인 ‘어린왕자 프로젝트’를 실행 중인 임 원장은 “아놀드수목원에도 우리의 어린왕자 프로젝트와 같은 식물과 관계맺기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어 반가웠다”고 말했다.

이날 어린왕자 프로젝트 설명을 들은 프리드먼 원장은 즉석에서 국립수목원 내 은행나무를 ‘내 나무’로 정한 뒤 ‘Ktree’라고 이름 붙이기도 했다.

이은주·김성은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