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고혈압 환자 746만6596명…전체 인구의 14.55%

2024. 5. 17. 10:1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국민 7명 중 1명은 고혈압 환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성 환자의 증가율이 여성에 비해 높았다.

함명일 심사평가정책연구소장은 "최근 5년간 고혈압 진료현황을 보면, 대부분의 환자는 50대 이상이지만 20~40대 환자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전 연령대에서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고혈압을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할 것"을 당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심평원 최근 5년 고혈압 진료현황 결과 발표
남성, 20~40대 환자 증가율 상대적으로 높아
최근 5년 성별 고혈압 환자 수 추이[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지난해 국민 7명 중 1명은 고혈압 환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성 환자의 증가율이 여성에 비해 높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17일 ‘세계 고혈압의 날’을 맞아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5년간 고혈압 진료현황 결과를 발표했다.

분석 결과, 환자 수가 14.1%(연평균 3.4%) 증가할 때 진료비는 23.5%(연평균 5.4%) 증가했고, 성별로는 남성이 여성보다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남성 환자 수는 5년간 16.3%(연평균 3.8%) 증가했고, 연간 총 진료비는 31.1%(연평균 7.0%) 증가한 반면, 여성 환자 수는 5년간 11.9%(연평균 2.9%) 증가했고, 연간 총 진료비는 17.3%(연평균 4.1%) 증가하는데 그쳤다.

연령별 인구 대비 진료 받은 환자 수 현황을 보면, 80대 이상 41.23%(97만314명), 70대 39.94%(158만4145명), 60대 31.39%(239만5284명) 순이지만, 최근 5년간 20대(27.9%), 30대(19.1%), 40대(14.6%) 환자가 크게 증가했다.

고혈압 다빈도 동반질병을 보면, 지질단백질대사장애 및 기타 지질증 42.1%(314만2418명), 2형 당뇨병 11.6%(86만7225명), 위-식도역류병 3.7%(27만8393명) 순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 뇌혈관질환을 동반한 고혈압 환자 수는 2019년 21만3244명에서 2023년 19만8721명으로 6.8%(연평균 1.7%) 감소한 반면, 심혈관질환을 동반한 고혈압 환자 수는 2019년 51만3452명에서 2023년 54만8033명으로 6.7%(연평균 1.6%) 증가했다.

함명일 심사평가정책연구소장은 “최근 5년간 고혈압 진료현황을 보면, 대부분의 환자는 50대 이상이지만 20~40대 환자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전 연령대에서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고혈압을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할 것”을 당부했다.

한편 심사평가원은 누리집(의료정보〉의료평가정보〉병원평가 검색〉만성질환〉고혈압)을 통해 고혈압에 대한 의료기관 평가 결과를 제공하고 있다.

thlee@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