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 팔고 투자 유치로 1200억 마련…GS '미운오리' 기지개

김익환 2024. 5. 17. 09:3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 기사는 05월 16일 10:54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GS그룹 정유·화학 설비 계열사인 GS엔텍은 오랜 기간 그룹의 '골칫거리'였다.

1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GS글로벌 자회사인 GS엔텍은 지난해 12월부터 최근까지 반년 동안 투자금 유치와 공장매각으로 1200억원 조달했다.

GS엔텍은 투자금 유치와 자산매각으로 마련한 자금으로 해상풍력사업 역량을 쏟을 계획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GS엔텍 도미누스·시몬느운용 대상
900억 CB·RCPS 발행…온산공장 300억에 처분
2005년부터 골칫거리…이번엔 IPO 하나
이 기사는 05월 16일 10:54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GS엔텍 용잠공장

GS그룹 정유·화학 설비 계열사인 GS엔텍은 오랜 기간 그룹의 '골칫거리'였다. 2005년 그룹에 편입된 이후 '눈덩이 손실'로 몸살을 앓았다. 하지만 올들어 투자금 유치와 공장매각으로 1200억원을 마련한 데다 해상풍력 설비 사업도 성과를 내고 있다. 일련의 사업·재무구조 재편이 성과를 내면서 기업공개(IPO) 추진에 나설지도 주목된다.

1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GS글로벌 자회사인 GS엔텍은 지난해 12월부터 최근까지 반년 동안 투자금 유치와 공장매각으로 1200억원 조달했다. 지난해 12월에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도미누스인베스트먼트와 시몬느자산운용으로부터 각각 643억원, 157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GS엔텍은 지난해 12월 도미누스에 전환사채(CB) 500억원, 상환전환우선주(RCPS) 143억원어치를 발행했다. 이어 시몬느자산운용을 대상으로는 CB 200억원, RCPS 57억원어치를 찍었다. 두 곳의 재무적 투자자(FI)로부터 총 900억원을 마련해다. GS엔텍은 FI와의 투자 계약에 2028년까지 IPO를 추진한다는 내용도 담았다. IPO에 실패하면 연간 7%의 수익률을 얹어 GS엔텍에 CB 등에 대한 풋옵션을 행사할 수 있도록 했다.

GS엔텍은 이어 최근에 보유한 울산 울주군 온산 공장도 300억원가량에 처분했다. 이 회사는 용잠공장, 성암공장 등을 운영하고 있다. 온산 공장은 증기발생기(RSG) 설비를 생산해왔다. 하지만 회사가 해상풍력발전 설비 사업에 집중하면서 유휴설비로 전락했다.

GS엔텍은 투자금 유치와 자산매각으로 마련한 자금으로 해상풍력사업 역량을 쏟을 계획이다. 이 회사는 전남의 영광 낙월 해상풍력 프로젝트에 2000억원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기 설비 ‘모노파일’ 64기를 공급할 계획이다. 모노파일은 바다 밑에서 해상풍력 발전기를 지탱해주는 대형 철판을 용접해 만든 원통 형태의 구조물이다. 국내에서 모노파일을 제작하는 기업은 GS엔텍이 유일하다. 영광 낙월 해상풍력 프로젝트는 전남 영광군 낙월면에 풍력발전기 64기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해외 해상풍력 사업 진출도 타진하고 있다. GS엔텍은 모노파일 공법을 도입하기 위해 글로벌 업계 1위 기업인 네덜란드의 시프와 2022년 7월 전략적 파트너십 계약을 맺었다.

GS엔텍은 그동안 적자를 이어가면서 그룹의 골칫거리로 지목받았다. 이 회사는 2010년 GS글로벌에 편입됐다. 석유화학 설비업체인 GS엔텍를 인수해 GS칼텍스 등 계열사와의 시너지 효과를 노린다는 계산이었다. 하지만 외부 일감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면서 적자가 누적됐다. 한때 부채비율이 900%까지 치솟기도 했다. 이에 그룹과 FI를 대상으로 수천억원의 자금을 지원받으면서 2018년에 부채비율을 120%까지 낮췄다.

하지만 2020~2023년에 적자행진을 이어가면서 지난해 말 부채비율은 310.9%까지 치솟았다. 이에 따라 재차 투자금 유치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