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재개발·재건축 가장 많은 지역, 서초구 아닌 ‘이곳’이라고?

이하린 매경닷컴 기자(may@mk.co.kr) 2024. 5. 17. 09: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시가 도시정비사업 추진현황을 6개월마다 공개하기로 했다.

서울에서 재개발·재건축 사업장이 가장 많은 자치구는 성북구로 나타났고, 서초구와 중랑·강동·마포구 등에서도 30개 이상이 진행 중인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정비사업 추진현황 공개를 시작으로 정비사업 진행현황을 투명하게 관리하겠다"며 "지연 사업장은 신속한 문제해결을 위해 코디네이터를 파견하는 등 원활한 주택공급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정비사업 현황 6개월마다 공개
구역 총 690개…성북 51곳·서초 47곳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서울시가 도시정비사업 추진현황을 6개월마다 공개하기로 했다. 서울에서 재개발·재건축 사업장이 가장 많은 자치구는 성북구로 나타났고, 서초구와 중랑·강동·마포구 등에서도 30개 이상이 진행 중인 것으로 집계됐다.

17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앞으로 도시정비법에 따른 재개발·재건축과 소규모정비법에 따른 가로주택·자율주택·소규모 재건축 사업의 단계별 추진현황을 6개월마다 공개한다.

시는 그간 2년 이내 입주가능한 아파트 입주 물량을 홈페이지에 공개해 왔지만 서울시 아파트 공급물량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정비사업 부문은 공개가 없었다.

정비사업이 서울 아파트 공급물량의 60%를 차지하는 만큼 이제부터는 구역별 추진현황을 공개해 시민이 주택공급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취지다.

시는 지난 3월 기준 총 690개 구역이 정비사업을 진행 중이다. 재개발은 247개, 재건축 165개, 소규모 정비 278개다.

정비사업이 가장 많은 자치구는 성북구가 51개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서초구(47개) ▲영등포구(41개) ▲송파구(40개) 순이었다.

소규모 정비사업만 놓고 봐도 성북구는 29개로 가장 사업장이 많았다. 이어 ▲중랑구(27개) ▲강동구(22개) ▲강북구(20개)로 나타났다.

1위인 성북구에선 재개발(18개)과 가로주택정비사업(23개)이 활발했다. 모아타운 사업이 대거 추진 중인 중랑구는 가로주택정비사업(23개)이 전체 사업의 3분의2를 차지했다.

지난해부터 올해 3월까지 새로 구역이 지정된 재개발·재건축 사업은 총 30개로, 9개는 신속통합기획(신통기획)을 통해 지정됐다.

재개발·재건축 마지막 인허가인 관리처분인가를 통과한 곳은 126개 구역(12만9242가구)이다. 이 가운데 공사 중인 곳은 67개(7만4281가구)다.

관리처분인가 후 착공을 앞둔 곳은 59곳으로, 이 중 이주를 마치고 착공이 임박한 곳은 26곳, 이주 중인 곳은 14곳, 이주 예정인 곳은 19곳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정비사업 추진현황 공개를 시작으로 정비사업 진행현황을 투명하게 관리하겠다”며 “지연 사업장은 신속한 문제해결을 위해 코디네이터를 파견하는 등 원활한 주택공급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