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한 질서가 존재하는 학교”…학생들 서열 노골화, OTT 시리즈에 우려 목소리

조성신 매경닷컴 기자(robgud@mk.co.kr) 2024. 5. 17. 09: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학생들 간 서열을 노골적으로 강조하는 하이틴 드라마가 잇따라 제작되면서 청소년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작품들에 적절한 수위 조절이 필요하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윤석진 드라마 평론가(충남대 국문과 교수)는 "현실을 고발한다는 취지로 학생들의 서열과 그로 인한 폭력을 적나라하게 그려낸 작품 중 지나치게 자극적인 작품들이 허다하다"면서 "청소년을 다루는 드라마를 제작할 때는 더욱 신중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왼쪽부터) 넷플릭스 ‘하이라키’·티빙 ‘피라미드 게임’ [사진 = 넷플릭스·티빙]
학생들 간 서열을 노골적으로 강조하는 하이틴 드라마가 잇따라 제작되면서 청소년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작품들에 적절한 수위 조절이 필요하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17일 방송가에 따르면 학생들의 학업과 연애에 초점을 맞춘 기존 학원물과 달리, 최근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를 통해 공개되는 학원물은 보다 폭넓은 소재를 다루고, 수위를 높였다는 특징이 있다.

학생들의 서열 놀이, 학교폭력 등의 소재를 내세운 작품들은 자극적인 이야기로 눈길을 끌기 쉽고, 학생 역할에 신인 배우들을 대거 캐스팅한다는 점에서 제작비 부담을 덜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음 달 7일 공개되는 넷플릭스 새 시리즈 ‘하이라키’는 상위 0.01%의 소수가 질서이자 법으로 군림하는 주신고등학교를 배경으로 하는 하이틴 드라마다.

이 드라마의 광고 카피중 하나도 ‘완벽한 질서가 존재하는 학교’다.

태어난 순간부터 선택받은 상류층 아이들이 모인 명문고등학교에 주인공 강하(이채민 분)는 장학생으로 전학을 온다. 재벌가 후계자나 무역회사 인터네셔널윤의 막내딸, 대대로 정치인을 배출해온 집안의 차남 등 화려한 집안 배경을 갖춘 학생들이 평범한 집안에서 자란 강하를 철저하게 무시하고 냉대한다.

최근 티빙에서 공개된 ‘피라미드 게임’도 신예들이 뭉친 하이틴 드라마다. 우주소녀 멤버 겸 배우인 김지연(보나) 외에 넷플릭스 연애 리얼리티 ‘솔로지옥’에 출연해 화제를 모은 신슬기, 아이브 장원영의 친언니 장다아 등 신인 배우들이 극을 이끈다.

피라미드 게임은 매달 투표로 학생들의 등급을 매겨 가장 낮은 F등급은 학교폭력 피해자가 되는 백연여고를 배경으로 한다. 투표로 정해지는 등급은 사실상 이미 존재하는 서열을 공고히 하는 역할을 한다. 매번 투표에서 가장 많은 표를 받아 A등급으로 최상위층에 군림하는 백하린(장다아)은 재벌가 백연그룹의 후계자이자 백연여고 이사장의 딸이고, 나머지 B등급도 백하린과 어울리는 비슷한 명문자제들이다.

드라마는 학생들이 부당한 일을 당하면서도 절대적인 권력을 휘두르는 백하린 앞에서 무력해지는 모습을 적나라하게 그려낸다.

소심한 성격, 혹은 왜소한 체격 때문에 ‘서열 꼴찌’가 된 주인공이 마주한 폭력을 전면에 내세운 학원물도 있다. 오는 29일 웨이브와 왓챠에서 공개되는 ‘조폭인 내가 고등학생이 되었습니다’로 조용한 성격의 왕따 고등학생 송이헌(윤찬영)의 몸에 47세 조폭 김득팔이 빙의되면서 벌어지는 일을 그린다.

학교폭력에 시달리던 송이헌은 조폭에 빙의된 후 자신만의 기술로 가해자들을 응징하고 정의를 구현한다.

상위 1% 모범생인 연시은(박지훈)이 학교폭력에서 살아남고자 친구가 된 안수호(최현욱), 오범석(홍경)과 함께 가해자들에 맞서 싸우며 성장하는 이야기를 그린 ‘약한영웅’의 후속작 ‘약한영웅 클래스 2’(가제)도 넷플릭스에서 공개된다.

자극적인 소재와 학교 배경을 결합한 드라마가 잇따라 공개되자 일각에서는 모방위험이 커 청소년에게 유해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윤석진 드라마 평론가(충남대 국문과 교수)는 “현실을 고발한다는 취지로 학생들의 서열과 그로 인한 폭력을 적나라하게 그려낸 작품 중 지나치게 자극적인 작품들이 허다하다”면서 “청소년을 다루는 드라마를 제작할 때는 더욱 신중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