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확률’로 깨어난 특전사…“동료 응원 목소리 들려줬다”

박태근 동아닷컴 기자 2024. 5. 17. 07: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야간 훈련 중 쓰러진 특전 부사관이 "가망이 없다"는 선고를 받았지만 기적적으로 의식을 되찾아 건강을 회복했다.

15일 페이스북 페이지 '육군훈련소 대신 전해드립니다'(육대전)에는 "1%의 기적"이라는 제목의 사연이 올라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육대전 페이스북
야간 훈련 중 쓰러진 특전 부사관이 “가망이 없다”는 선고를 받았지만 기적적으로 의식을 되찾아 건강을 회복했다.

15일 페이스북 페이지 ‘육군훈련소 대신 전해드립니다’(육대전)에는 “1%의 기적”이라는 제목의 사연이 올라왔다.

예비역 원사이자 두 아들을 둔 A 씨는 “둘째가 아버지처럼 군인이 되겠다며 특전사에 입대해 1공수특전여단에서 중사로 군 생활을 했다”고 입을 열었다.

A 씨는 작년 8월 말 새벽 아들 부대의 대대장으로부터 한 통의 전화를 받았다. 아들이 야간훈련 중 산속에서 쓰러져 국군수도병원으로 이송됐다는 연락이었다.

병원으로 달려간 A 씨는 담당의로부터 “응급조치는 했으나 가망이 없다”는 말을 들었다고 한다. 이후 환자는 상급종합병원으로 옮겨졌지만 그곳에서도 “자가호흡과 의식이 없는 상태로, 생존확률이 1%도 안 된다”는 말을 들었다는 게 A 씨의 설명이다.

그러나 의무 사령부 위탁환자 관리팀은 “아직 젊고 군인정신이 있기에 포기하기 이르니 희망을 갖고 좀 더 치료하자”며 포기하지 않았고, 이후 신장투석기를 24시간 가동하는 등 조치가 이루어졌다고 한다.

동료들은 힘든 훈련 중에도 돌아가며 환자와 가족 곁을 지키고, 여단장, 대대장, 주임원사, 중대원들이 든든한 힘이 돼 줬다고 한다.

A 씨는 “아들이 의식이 없을 때 응원 메시지를 보내주면 좋다는 간호사의 말에 많은 부대원들이 응원 녹음파일을 보내주셔서 들려줬다”고 설명했다.

A 씨는 “의무 사령부 위탁 환자 관리팀, 육군본부 환자 지원팀, 특수전사령부 1공수특전여단 부대원들의 정성이 있어서 지금 저희 아이는 생환 확률 1%의 기적으로 살아났다”며 “뇌와 장기도 정상이고, 7개월 만에 퇴원해 부대원들의 뜨거운 환영 속에 복직 신고까지 했다”고 근황을 알렸다.

그러면서 “남들은 ‘그런 상황이 었는데도 자식을 또 군에 보내느냐’고 묻는데, 놀라서 불안하긴 하지만 한편으론 부대에서 보여준 노력과 진정성에 안심이 된다”며 “저도 35년간의 군 생활을 마무리하고 전역했지만 쉽게 보지 못한 모습들이었다. 다시 한번 감사드린다”고 전했다.

박태근 동아닷컴 기자 ptk@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