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나가던 K-방산 '주춤'…정책금융 신중론에 계약해지 우려↑

김정현 기자 2024. 5. 17. 06: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초부터 폴란드 등 해외 무기 수출 계약 힘입어 연일 신고가를 경신하던 국내 방산업체들의 주가에 '노란불'이 켜졌다.

인도네시아 KF-21 사태 등으로 인해 정책금융 지원 신중론이 커지면서다.

폴란드 K9 자주포 및 천무 로켓 등 수출 계약 소식에 힘입어서다.

폴란드는 2차 실행계약을 체결하며 수출입은행·무역보험공사의 정책금융기관 보증 등 국가 간 별도의 금융계약을 맺어야 계약의 효력이 발생한다는 단서를 달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화에어로·현대로템, 폴란드 2차 계약 자동해지 가능성도
K-9 자주포 2023.3.14/뉴스1 ⓒ News1 조태형 기자

(서울=뉴스1) 김정현 기자 = 올해 초부터 폴란드 등 해외 무기 수출 계약 힘입어 연일 신고가를 경신하던 국내 방산업체들의 주가에 '노란불'이 켜졌다. 인도네시아 KF-21 사태 등으로 인해 정책금융 지원 신중론이 커지면서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6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는 전일 대비 2000원(0.92%) 하락한 21만 5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올해 들어 주가가 100.4% 상승하며 지난 4월 26일 신고가인 24만 9500원까지 올랐다. 폴란드 K9 자주포 및 천무 로켓 등 수출 계약 소식에 힘입어서다. 그러나 이달 들어서는 주가가 소폭 하락해 21만~22만 원대에서 횡보 중이다.

현대로템(064350)의 주가 역시 이전 같은 기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현대로템 역시 주가가 지난 4월 12일 연초 대비 63.34% 오르며 4만 3450원까지 올랐으나, 5월 들어 주가가 4만 원 밑으로 떨어졌다.

당초 증권가에서는 올해 'K-방산'의 호황을 전망했다. 글로벌 지정학적 리스크 고조로 유럽, 중동, 아시아 국가들의 군비증강 흐름이 나타나, 국내 방산업체들의 추가 수출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달 발생한 인도네시아의 일방적인 'KF-21' 기술 이전 및 개발 분담금 삭감 요구로 이같은 분위기가 반전됐다.

지난 8일 방위사업청은 "인도네시아 측이 KF-21 체계개발 종료 시점인 2026년까지 6000억 원으로 분담금 조정을 제안했다"며 "분담금 규모를 인도네시아 측이 납부 가능한 6000억 원으로 조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앞서 인도네시아 측은 지난 2016년 시제 1기와 각종 기술을 이전받기로 하고 KF-21 개발비 8조 8000억 원의 약 20%인 1조 7000억 원을 부담하기로 했다.

이후 분담금을 1조 6000억 원으로 감액했으나, 인도네시아가 미납을 거듭한 끝에 결국 1조 원에 달하는 미납 분담금이 발생했다. 정부가 이를 수용하기로 결정하며, 우리 정부가 손해를 떠안게 된 셈이다.

무기 구입국의 '배짱'에 정부 내부에서는 폴란드 등 기존 방산수출국가를 상대로 한 정책금융에 대한 신중론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앞서 폴란드는 지난달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천무 72대(3조 4000억 원), 지난해 12월 K-9 자주포 152문(2조 3000억 원)에 대한 2차 실행계약을 맺었다.

폴란드는 2차 실행계약을 체결하며 수출입은행·무역보험공사의 정책금융기관 보증 등 국가 간 별도의 금융계약을 맺어야 계약의 효력이 발생한다는 단서를 달았다. 기한은 K-9 계약건이 6월까지, 천무 계약건이 오는 11월까지다.

이에 지난 2월 국회에서 수출입은행의 법정자보금 한도를 15조 원에서 25조 원으로 증액하는 수출입은행법(수은법) 개정안이 통과됐다. 그러나 기획재정부의 자본금은 투입되지 않은 상태다.

현재 현대로템도 폴란드 정부와 K2 전차 2차 계약을 협상하고 있다.

국내 방산업체들은 하루빨리 정책금융 지원을 받기를 바라고 있는 상태다. 계약 기한을 넘기면 2차 계약이 자동 해지되기 때문이다.

수조원에 달하는 수출 실적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가가 큰 폭으로 오른 상태에서 2차 계약이 무산될 경우, 주가 급락으로 이어질 수 있는 상태다.

최광식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현대로템의 경우 폴란드 수출 물량 납품 계획의 기성률에 따라 디펜스 수출 비중과 매출, 이익이 성장할 예정이나 2026년부터를 채울 2차 수주가 절실한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Kris@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