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보 취급 당하며 한국어 공부, 윤동주묘 찾아낸 일본 학자 오무라 마스오 [책&생각]

임인택 기자 2024. 5. 17. 05: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저 또한 군국소년이어서 곧잘 군가를 불렀습니다." "패전한 날 소개지에서 공포의 대상이었던 선생님이 우시면서 '일본은 졌어. 너희들이 장성해서 원수를 갚아다오!'라고 하셔서 마음 깊이 감동을 했던."

"조선은 원래 청국의 것인데, 도카이 산시가 조선을 일본의 것이라고 하니 그것은 말도 안 되는 것이라는 겁니다. 그런 상황에서 이 소설에서 제외되어 있는 조선 사람들은 당시에 무슨 생각을 했을까 하는 생각에서 조선문학에 관심을 품기 시작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985년 중국 룽징(용정) 변두리서 찾은 윤동주 시인의 묘비를 다시 찾은 오무라 마스오 부부. 아내 오무라 아키코는 남편이 “시인의 마음을 품고 있”고 “그걸 간과하면 오무라를 이해하기 힘들다”고 말한다. 소명출판 제공

오무라 마스오와 한국문학
곽형덕 엮음 l 소명출판 l 2만2000원

“저 또한 군국소년이어서 곧잘 군가를 불렀습니다.” “패전한 날 소개지에서 공포의 대상이었던 선생님이 우시면서 ‘일본은 졌어. 너희들이 장성해서 원수를 갚아다오!’라고 하셔서 마음 깊이 감동을 했던….”

“(1953년 대학 입학 무렵) 조선은 제 시야에 없었습니다. (…) 당시 조선어를 제대로 가르쳤던 대학은 (오사카외대와) 덴리대학뿐이었습니다.” 간사이 지역의 두 대학뿐이라는 사정은 1970년대 중반까지도 달라지지 않았다.

이런 기억을 훗날 풀어놓게 되는 1933년생 일본의 학자는 와세다대 정경학부 졸업 뒤 도쿄도립대 대학원에서 중국문학을 전공하며 량치차오를 접한다. 정치인 소설가 도카이 산시(명성황후 시해사건 가담자)의 책을 번역하던 중국 지식인. 중도에 책을 집어던졌다는 량치차오의 일화가 남긴 뒷맛은 하나의 국면이 된다. “조선은 원래 청국의 것인데, 도카이 산시가 조선을 일본의 것이라고 하니 그것은 말도 안 되는 것이라는 겁니다. 그런 상황에서 이 소설에서 제외되어 있는 조선 사람들은 당시에 무슨 생각을 했을까 하는 생각에서 조선문학에 관심을 품기 시작했습니다.”

전후 일본 ‘조선문학 연구’의 선구자인 오무라 마스오(1933~2023)의 회고다. 1957년말 총련 청년학교를 찾아가 “바보 취급” 당하며 조선어를 배우기 시작하고, 1961년 발족한 ‘일본조선연구소’의 일원이 되며, 1970년 ‘조선문학의 모임’ 결성과 일본인들 최초의 조선문학 연구 잡지로 평가받는 ‘조선문학-소개와 연구’(1970~74) 발행을 주도한다. 시인 윤동주의 묘를 찾고 시집을 복원하는 데 지대하게 공헌했으나 모두 오무라를 수식하는 몇몇 사례에 불과하다. 찢겨진 한반도에선 자생 불가했던, 남·북·중국(연변)을 관통한 ‘등거리 조선문학 연구자’로의 족적이 올돌하기 때문이다. 그가 “가장 영향을 받은 작가”로 꼽으며 타계 전까지 연구에 헌신했던 이가 사회주의 계열 항일투사이자, 남에서 북, 북에서 연변으로 옮겨간 작가 김학철(1916~2001)이다.

곽형덕 명지대 교수가 2017~22년 진행한 대담을 중심으로 엮은 ‘오무라 마스오와 한국문학’은 이런 미시사와 함께 특히나 오무라가 중국문학에서 조선문학으로 관심을 전환하게 된 계기를 집요하게 추적한다. 대학·원 은사들 영향에 더불어, 열도를 뒤집은 재일조선인 이진우의 여고생 살인사건(1958), ‘조선을 이해하려면 언어부터 알아야 한다’는 인식을 확산한 김희로 살인사건(1968), 1960~70년대 정세 변화 등이 한 인물의 내면에서 조명되며 비로소 미동들이 격동으로 선연해진다. 구술집의 외피를 쓴 역사 심리소설처럼도 읽히는 이유다.

오무라는 자술하고 있으나, 과장 없이 들린다. “커다란 이야기를 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태도는 그가 견지한 실증주의의 다른 몸짓일 것이다. 그런 오무라가 아베 신조의 총격 사망을 두고 “자업자득”이라 했으니, 30대 한국 방문 뒤 “내 조국이라고 부를 수 없지만 사랑하는 대지를 밟았다”고 썼던 그의 더 깊은 통한을 짐작게 한다.

지난해 1월 죽음을 알리지 말란 유언 따라 뒤늦게 국내 당도한 부음에 우리의 애도는 충분했던가. 그가 품어온 한국 문학 자료들이 지난해 10월 국립한국문학관에 기증 보관되어 있다.

1974년 3월 임종국 선생의 가족과 함께한 오무라 마스오(왼쪽). 재야 운동가이자 역사가로 친일 문학사 등을 파헤친 임 선생과 그의 공적을 일본 사회에 알리는 데도 오무라는 큰 기여를 했다. 소명출판 제공
오무라 마스오가 먼저 제안해 1976년 일본에 번역 소개된 임종국 선생의 ‘친일문학론’. 소명출판 제공
오무라 마스오 등이 번역 소개한 ‘한국단편소설선’(1988). 서울올림픽이 열린 해였으나 그때만 해도 “전혀 팔리지 않았다”고 오무라는 회고했다. 소명출판 제공
오무라 마스오(가운데)가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고 말하는 김학철 작가 부부. 고 김학철은 1943년 항일 무장투쟁 중 일본군 포로가 되어 옥살이했다. 전투 중 입은 총상으로 다리를 잘라야 했다. 소명출판 제공
1985년 중국 룽징(용정) 변두리에 있는 윤동주 시인의 묘를 찾은 뒤 절하고 있는 오무라 마스오 교수. 한겨레 자료사진
2019년 1월 곽형덕 교수와의 인터뷰 뒤 고양이와 오무라 마스오. 소명출판 제공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