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와 강원 불교 유산의 만남 권혁진·정원대 ‘사찰기행’

김진형 2024. 5. 17. 00: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권혁진 강원한문고전연구소 소장과 평창의 향토사학자 정원대 씨는 강원의 사찰을 찾아 명산 곳곳을 누빈다.

명찰로 꼽히는 월정사부터 과거의 위용이 전설로만 구전되는 폐사지까지 발길을 옮겨 왔다.

이들이 함께 쓴 '사찰기행'은 강원 18개 시·군 80여 개의 사찰과 불교 유적을 다룬 책이다.

'불교 유산을 찾아서'라는 부제로 월정사 주지 퇴우 정념스님이 감수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권혁진 강원한문고전연구소 소장과 평창의 향토사학자 정원대 씨는 강원의 사찰을 찾아 명산 곳곳을 누빈다.

명찰로 꼽히는 월정사부터 과거의 위용이 전설로만 구전되는 폐사지까지 발길을 옮겨 왔다.

이들이 함께 쓴 ‘사찰기행’은 강원 18개 시·군 80여 개의 사찰과 불교 유적을 다룬 책이다. ‘불교 유산을 찾아서’라는 부제로 월정사 주지 퇴우 정념스님이 감수했다. 각 사찰에 얽힌 역사와 이야기가 읽기 쉽도록 짤막한 형식으로 소개됐으며 감상까지 함께 적혀 풍요로움을 더한다.

김시습을 비롯한 옛 문인의 한시도 인용된다. “신선 사는 산 속세와 멀리 떨어졌으니/청낭 속 옥 먹는 법 익히고 싶네”라고 매월당집에 쓰인 김시습의 한시를 통해 저자는 자연과 하나되는 한가로운 봄날의 월정사를 그린다.

권혁진 소장은 “우여곡절 끝에 절터를 찾으면 잡초가 우거진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장엄했던 시간을 뒤로 한 채 자연으로 돌아가는 폐사지에 서면 자연의 섭리를 깨닫곤 했다”고 밝혔다. 김진형

#권혁진 #정원대 #사찰기행 #월정사 #폐사지

Copyright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