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외계층 위한 자원봉사자들만의 특별한 ‘공유주방’

윤나경 2024. 5. 16. 21:5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소외계층에게 음식을 만들어 나누는 자원봉사자에겐 대용량의 음식을 조리할만한 마땅한 장소가 없다는 점이 가장 큰 고민 중 하나입니다.

이런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 한 지자체에서 자원봉사자 전용 공유주방을 조성해 운영에 들어갔습니다.

윤나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른 아침부터 대형 주방에 모인 자원봉사자들, 깨끗이 재료를 씻고 다듬으며 독거노인 가정에 나눠줄 반찬을 정성스럽게 준비합니다.

["(오이를) 반반씩 자르시고 똑같이 나누면 돼요."]

오늘 만드는 반찬은 오이김치와 태국 요리인 새우 팟타이.

지난달까지 건물 옥상 한편에 천막을 쳐놓고 임시 조리대를 설치해 음식을 준비했어야 했지만, 이젠 그럴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대형 화구에 넓은 조리대를 갖춘 자원봉사자 전용 공유 주방이 마련됐기 때문입니다.

[김화순/반찬 나눔 자원봉사자 : "(예전에는) 옥상에서 때로는 마당에서 천막 쳐가며 좀 열악한 환경이었다면, 지금은 아주 쾌적한 환경에 좋은 음식을 만들고 있죠."]

정성이 가득 담긴 반찬은 독거노인 가정 15곳으로 전달됩니다.

[한진수/광명시 광명동 : "반갑고 기다려지고 맛있게 먹고 있고 그렇습니다. 아주 고맙지요."]

경기 광명시가 조리 장소를 구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자원봉사자들을 위해 마련한 봉사자 전용 공유주방인 '채움 부엌'.

대형 화구 8개에 대형 오븐, 식기세척기와 살균 건조기까지 대형 식당 주방 수준의 도구 등을 모두 갖췄습니다.

관내에서 활동하는 자원봉사자는 원하는 시간에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쾌적하고 편리한 환경에서 소외계층을 위한 음식 자원 봉사를 할 수 있게 되면서, 이웃 사랑의 마음도 더욱 크게 피어날 것으로 기대됩니다.

KBS 뉴스 윤나경입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윤나경 기자 (bellenk@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