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날아오르자 항공물류도 뜬다

김상범 기자 2024. 5. 16. 21:4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4월까지 하늘길 수출 29% 늘어나
전체 항공 수출 반도체 비중 45%
항공사도 무게 비해 단가 높아 선호

국내 대표 수출품인 반도체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면서 최근 덩달아 생기를 띠는 분야가 있다. 바로 항공산업이다. 하늘길로 수송해야 하는 반도체의 특성 덕에 반사이익을 톡톡히 누리고 있다. 인공지능(AI) 붐이 촉발한 반도체 시장의 변화가 침체돼 있던 화물기 시장에도 활기를 불어넣는 모습이다.

16일 한국무역협회 통계에 따르면 올해 1~4월 항공 화물 수출액은 687억1845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532억7046만달러보다 29.0% 늘었다. 이 기간 전체 수출액이 약 9.6%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항공 운송의 회복세가 유독 가파르다.

올해 들어 부쩍 좋아진 반도체 경기가 항공 물동량을 밀어 올렸다. 삼성전자·SK하이닉스가 주력하는 메모리 반도체의 항공 수출액은 올해 1~4월 203억6603만달러다. 전체 항공 수출액의 29.6%를 차지한다.

글로벌 테크업계의 경쟁적인 AI 관련 투자로 AI 연산에 필수적인 고대역폭메모리(HBM)를 중심으로 메모리 수출이 빠르게 늘고 있다. 여기에다 비메모리 시스템 반도체까지 더하면 반도체가 항공 수출에서 차지하는 몫은 45.4%나 된다.

반도체기업과 항공사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자동차·석유화학·철강 등 여타 수출품은 대부분 바닷길을 이용하는데, 반도체는 거의 다 항공기로 운송한다. 고온·극저온에 장시간 노출되면 제품에 변형이 생겨 심하면 전량 폐기하는 사태에 맞닥뜨릴 수 있다. 바다 위에서는 가혹한 날씨나 습도, 진동에 노출되기 쉬워 해상 운송은 적합하지 않다.

게다가 비행기는 압도적으로 빠르다. 해상 운송이 미국 기준 2개월 가까이 걸리는 데 비해 화물기는 길어야 일주일이다.

무게에 비해 단가가 높은 반도체는 항공사의 주 수입원이기도 하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반도체가 전체 항공 물동량에서 점하는 비중(무게 기준)은 10%도 안 된다”며 “반도체는 물량이 많다기보다는 비싼 화물에 속한다”고 말했다.

반도체발 훈풍으로 항공업계 실적도 기지개를 켜고 있다. 대한항공의 올 1분기 화물 수송 매출은 9966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4.9% 감소했으나, 화물수송량(FTK)은 전년 대비 7.4%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화물 운임이 11% 이상 하락한 것을 감안하면, 취급 물량이 증가하면서 오히려 선방한 셈이다.

2022~2023년 정보기술(IT) 경기 침체와 중국의 내수 부진으로 항공 화물 시장은 고전을 면치 못했다. 하지만 올해는 반도체 수요 덕에 항공 화물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더불어 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 등 중국 e커머스 플랫폼의 공격적인 사업 확장도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 강성진 KB증권 연구원은 “특히 인천공항을 경유하는 중국발 미주행 직구 물량이 늘어나 운임·물동량이 호조를 보이고 있다”며 항공 화물 업황이 빠르게 개선되고 있다고 짚었다.

김상범 기자 ksb1231@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