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푸틴 “미국 주도 군사동맹, 한반도에 해롭다”

박은하 기자 2024. 5. 16. 21:1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베이징서 정상회담…‘전략적 동반자 관계 심화’ 공동성명
내용은 “상호 핵심 이익 지지”…경제·외교 협력 ‘밀착 과시’
푸틴, 러시아 철군 빠진 중국의 ‘우크라 평화 계획’에 공감 뜻
러시아 대통령, 중국 국빈방문 중국을 국빈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국가주석이 16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악수를 하고 있다. 스푸트니크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6일 양국 수교 75주년을 맞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심화한다는 내용의 공동성명에 서명했다.

공동성명에는 한반도 긴장을 낳을 수 있는 미국과 동맹국들에 의한 군사적 위협에 반대한다며 양국 군사협력을 강화할 계획을 시사하는 내용도 담겼다.

1박2일간의 중국 국빈방문을 위해 이날 베이징을 찾은 푸틴 대통령과 시 주석은 서로를 “오랜 친구”라 부르고 “중·러 협력은 세계를 안정시킬 것”이라면서 밀착을 과시했다. 푸틴 대통령은 한반도 문제와 관련해서는 “미국과 동맹국들에 의한 군사동맹이 해롭다”고 밝혔다.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두 정상은 이날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정상회담에 앞서 양국 간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심화에 관한 공동성명에 서명했다. 성명에는 중·러 양국은 상호존중을 지향하며 서로의 핵심 이익을 지지한다는 것을 양국 관계의 기본 원칙으로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타스통신에 따르면 중국과 러시아는 공동성명에서 “양국은 북한과의 대결을 고조시켜 한반도 무력 분쟁과 긴장 고조를 낳을 수 있는 미국과 그 동맹국들에 의한 군사적 위협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공동성명은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의 파괴적 정책과 보조를 맞추는 미국 ‘인도·태평양’ 전략의 지역 평화·안정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에 주목한다”는 주장도 폈다.

우크라이나 전쟁 문제에 관해선 “양국은 적대 행위의 장기화와 분쟁의 추가 고조에 기여하는 어떠한 조치도 중단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며 “통제 불가능한 국면으로 넘어가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요구하고, 우크라이나 위기를 해결하는 최선의 형태로서 대화의 중요성을 강조한다”고 밝혔다. 앞서 푸틴 대통령은 지난해 중국이 우크라이나 전쟁 1년을 맞아 제안한 ‘우크라이나 평화계획’에 대해 “평화를 달성하기 위한 실행 가능하고 건설적인 조치”라고 평가했다. 12개항으로 된 중국의 우크라이나 평화 계획은 러시아의 점령지 철군을 요구하는 내용이 빠져 있다.

공동성명은 아울러 “러시아와 중국은 지속해서 군사 분야 신뢰와 협력을 강화하고, 합동 훈련과 군사 훈련의 규모를 확대할 것”이라는 내용도 포함됐다.

시 주석은 회담 모두발언에서 푸틴 대통령을 “존경하는 푸틴 대통령, 내 오랜 친구”라고 불렀으며, 수교 75주년을 맞은 중·러관계를 두고 “4분의 3세기 동안 폭풍우를 겪는 와중에도 시간이 갈수록 단단해졌다”고 표현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새로운 여정에서 러시아의 좋은 이웃, 좋은 친구, 좋은 동반자가 될 용의가 있으며 러시아와 손잡고 세계의 공평과 정의를 지킬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스푸트니크통신은 푸틴 대통령이 “두 나라의 협력은 기회주의적인 것도 아니고 누군가를 겨냥한 것도 아니다”라며 “(중·러 협력은) 세계를 안정시키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정상회담에서는 투자, 에너지, 경제무역, 동북·극동, 인적 교류, 국제협력 분야 현안이 광범위하게 논의됐다고 중국중앙(CC)TV가 전했다. 러시아는 중국과 협력해 ‘2030년까지의 러·중 경제협력 계획’을 이행하기로 했다. 양국은 올해와 내년을 ‘러시아인과 중국인의 해’로 지정해 우호를 다지며, 유라시아 경제연합과 일대일로 이니셔티브 간의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 내년 2차 세계대전 승전 80주년을 공동 기념하기로 했다.

두 정상은 회담 이후 양국 수교 75주년 기념식과 양국 문화의 해 개막식에도 참석했다. 이후 공원 산책을 겸해 비공식 대화를 나눈 뒤 양측 대표단이 참석하는 비공식 만찬을 했다.

베이징 | 박은하 특파원 eunha999@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