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ENM 영화 사업부 1분기 적자···코로나 이후 손익분기점 넘긴 영화 '두 편'

2024. 5. 16. 18:0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CJ ENM의 영화·드라마 사업부가 1분기 적자를 냈다.

 16일 공시된 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CJ ENM의 2024년 1분기 영화·드라마 매출은 3664억원, 영업이익은 178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영화의 제작, 투자 및 배급 사업을 영위하는 CJ ENM은 코로나 팬데믹 이후 위기를 맞았다.

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영화·드라마 부문 매출은 수출이 3258억원, 내수가 404억원으로 약 8배가 넘는 수준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마포구 CJ ENM 사옥. 사진=연합뉴스



CJ ENM의 영화·드라마 사업부가 1분기 적자를 냈다. 16일 공시된 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CJ ENM의 2024년 1분기 영화·드라마 매출은 3664억원, 영업이익은 178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406억원 적자를 낸 것과 비교하면 규모는 40% 가량 줄었다. 

영화의 제작, 투자 및 배급 사업을 영위하는 CJ ENM은 코로나 팬데믹 이후 위기를 맞았다. 1년 단위로 따지면 2021년 266억원 2022년 70억원으로 영업이익이 줄어들다가 작년 53억원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적자로 돌아섰다. 

적자가 이어지자 기업 실적에서 영화·드라마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도 줄었다. 2020년 8.99%에서 2021년 5.14%로 감소했고 2023년부터는 마이너스로 돌아서 산출에서 제외됐다. 

코로나19 이후 개봉한 영화의 실적도 부진하다. CJ ENM은 2022년 <브로커>, <헤어질 결심>, <외계+인 1부>, <공조2: 인터내셔날>, <영웅>, 2023년 <유령>, <카운트>, <더문>, <천박사 퇴마 연구소: 설경의 비밀>, <소년들>, 2024년 <외계+인 2부>, <도그데이즈>, <패스트 라이브즈>까지 3년 간 13개 영화를 투자·배급했다. 그러나 이 중 손익분기점을 넘긴 작품은 단 두 편으로 <헤어질 결심>이 190만명, <공조2:인터내셔날>이 698만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손익분기점은 각각 120만명, 350만명이다. 

국내 영화 시장이 부진하자 CJ ENM은 최근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해외 투자에 공을 들이고 있다. 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영화·드라마 부문 매출은 수출이 3258억원, 내수가 404억원으로 약 8배가 넘는 수준이다.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수출부문 매출은 약 3배 늘었고, 내수는 절반가량 줄었다. 

임나영 인턴기자 ny924@hankyung.com 

Copyright © 한경비즈니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