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0년 반가사유상, 아무리 찍어도 깊이 가늠 힘들어"

송경은 기자(kyungeun@mk.co.kr) 2024. 5. 16. 17:1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작가 준초이 개인전
AI·팝아트와 결합한 새 작품
서울 중구 두손갤러리에 펼쳐
18년전 부여박물관서 만난후
상업사진서 순수예술로 전환
로댕의 '생각하는 사람'처럼
전세계에 널리 알리고 싶어
사진작가 준초이의 개인전이 열리고 있는 서울 중구 두손갤러리 전시장에 팝아트로 재해석한 반가사유상 사진 작품이 전시돼 있다. 송경은 기자

"로댕의 '생각하는 사람'은 말 그대로 생각하는 사람을 나타낸 것이지만, 동양의 반가사유상은 선인의 정신적인 경지를 표현했다는 점에서 조금 다릅니다. 조각을 추상적인 영역으로 확장했을 뿐만 아니라 그 깊이도 가늠이 안 될 정도로 깊어 파도 파도 끝이 보이지 않죠."

'반가사유상 작가'로 유명한 사진작가 준초이(본명 최명준·사진)의 개인전 '필연적 만남, Serendipity(세렌디피티)'가 서울 중구 두손갤러리에서 오는 6월 20일까지 열린다. 준초이가 걸어온 예술과 인생 여정을 아우르는 전시로, 그의 대표 작품인 '반가사유상'을 다채롭게 조명한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그가 처음으로 시도하는 반가사유상 인공지능(AI) 협업 작품과 팝아트 작품도 함께 선보인다. 두손갤러리 관계자는 "과거와 현재, 상상 속 미래의 반가사유상을 한 공간에서 볼 수 있도록 기획한 전시로, 관객이 반가사유상의 다양한 면면을 살펴보면서 온전히 자신과 마주할 수 있는 사유의 시간을 갖길 바란다"고 밝혔다.

반가사유상은 반가부좌를 틀고 현세에서 고통받는 중생들을 위해 상념에 잠긴 미륵보살을 나타낸 불교 문화재다. 반가사유상은 여럿이 국보로 지정돼 있는데 이 가운데 준초이 작가가 집중적으로 탐구해온 것은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국보 제78호와 제83호로 지정된 반가사유상 '금동미륵보살반가상(金銅彌勒菩薩半跏像)'이다. 각각 삼국시대였던 6세기 초반과 7세기 초반에 제작돼 현재까지 보존돼 왔다. 작자 미상의 작품이지만 오른손을 살짝 턱에 괴고 평온한 표정으로 생각에 빠진 선인의 모습은 깊이 생각하고는 있지만 고통에서는 자유로운 해탈의 경지를 떠올리게 한다.

오랜 기간 프리랜서 광고사진가로 활동했던 준초이 작가는 18년 전 우연한 계기로 반가사유상과 처음 마주했다. 당시 부여박물관에서 도록에 쓰일 반가사유상 사진을 부탁하면서다. 준초이 작가는 "그때는 내가 오만하게도 그런 것엔 관심 없다며 3년을 거절했었다. 국가 보물이지만 칙칙하고 녹슨 물건을 찍어야 될 이유가 별로 없다고 생각했다"며 "그러다 박물관장의 끈질긴 설득으로 결국 참여하게 됐는데 여기까지 오게 될 줄은 몰랐다"고 말했다. 당시 그가 참여한 도록 '백제'(2006)에는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을 비롯해 '백제금동대향로' '백제산경문전' 등 백제의 대표적인 유물의 사진이 담겼고, 그의 작업 또한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이후에도 준초이 작가는 시간이 날 때마다 반가사유상에 매달리기 시작했다. 그는 "프리랜서 사진 작가는 정말 그야말로 죽기 아니면 살기다. 닥치는 대로 일을 해야 하고, 한 번 잘 못하면 바로 잘릴 정도로 인간을 가장 날카롭게 벼랑에 몰아붙여서 뒤로 빠질 수 없게 만드는 일"이라며 "그렇게 살다가 반가사유상을 통해 이렇게 사진을 갈고닦다 보니까 삶이 너무나도 달라졌다. 좋으면서도 반가사유상을 넘어선 다음 작업은 뭘까 계속 고민하게 된다"고 말했다. 이번 전시도 그 결과물 중 하나다. 반가사유상을 있는 그대로 사진에 담아도 보고, 다양하게 변형도 해봤다.

준초이 작가는 1500년이라는 세월이 켜켜이 쌓인 반가사유상의 거친 표면이 꼭 인간의 삶과 닮았다고도 했다. 그는 "우리가 볼 때는 그저 평온한 미륵보살로 느껴질지 몰라도, 반가사유상이 이 자리에 오기까지 긴 세월을 견디면서 표면에 상처와 녹이 생긴 것처럼 우리도 온몸으로 부딪혀 삶을 견뎌낼 때 비로소 성장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스스로 불교 신자는 아니라는 그는 "반가사유상은 불상이지만 종교적인 접근은 최대한 배제하려 한다. 종교적인 차원을 넘어 동양의 예술작품, 한국을 대표하는 조각상으로 세계에 널리 알리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준초이 작가는 중앙대 사진학과와 일본 니혼대 예술학부 사진학과를 졸업했다. 1982년 미국 뉴욕으로 건너가 광고 사진작가로 활동하다 1988년 한국으로 돌아왔다. 40여년간 광고와 인물 사진가로 업계에서 이름을 알리며 정점을 찍은 뒤 2006년 반가사유상 사진 작업으로 참여한 도록 '백제'를 계기로 순수예술 사진으로 작업을 확장했다. 부산시립미술관(2008), 일본 후쿠오카 국립박물관(2009) 등에서 개인전을 열었다.

[송경은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