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구 된 대구은행, 자본·인지도 격차 넘어 '메기' 될까

공준호 기자 2024. 5. 16. 16:5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금융위원회가 지방은행인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을 승인하면서 7번째 시중은행이 새롭게 출범하게 됐다.

다만 기존 대형 시중은행과 인지도·자본력 등에서 큰 차이가 나는 만큼 은행권 경쟁촉진이라는 정부의 당초 취지를 이뤄내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평가다.

한 은행 관계자는 "시중은행 전환에 따라 금리경쟁력, 영업기반 등이 강화될 수 있겠지만 인지도를 높이고 자본을 대형은행 수준으로 확대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총 자본격차 주요 시중은행과 20~30조원 수준
수도권 영업 통한 이익창출 계획…"상당한 시간 걸릴 듯"
16일 오후 열린 금융위원회 정례회의에서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 인가' 안건이 심의를 통과했다. 이로써 1967년 설립된 대구은행은 1992년 평화은행 이후 32년 만에 새로운 시중은행으로 진출하게 됐다. 사진은 이날 오후 대구 수성구 대구은행 본점 전경. 2024.5.16/뉴스1 ⓒ News1 공정식 기자

(서울=뉴스1) 공준호 기자 = 금융위원회가 지방은행인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을 승인하면서 7번째 시중은행이 새롭게 출범하게 됐다. 다만 기존 대형 시중은행과 인지도·자본력 등에서 큰 차이가 나는 만큼 은행권 경쟁촉진이라는 정부의 당초 취지를 이뤄내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평가다.

16일 금융위는 제9차 정례회의를 열고 대구·경북권 중심의 지방은행인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을 위한 은행업 인가를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 1992년 평화은행 인가 이후 32년만에 새로운 시중은행이 출범하게 됐다. 현재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한국씨티은행, KB국민은행, SC제일은행(가나다 순)에 이은 일곱 번째 시중은행이다.

이번 시중은행 전환 작업은 윤석열 대통령이 은행산업의 '과점 폐해'를 지적하며 금융위에 은행권 경쟁 촉진 방안을 마련하라는 지시를 내리며 시작됐다. 이에 정부는 지난해 7월 지방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을 추진하며 신규플레이어 진입을 유도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 작업을 추진해왔다.

금융위는 이번 인가 승인과 함께 "은행업 영위 경험이 있는 주체가 업무영역·규모 등을 확대하는 것으로, 단시일 내 안정적·실효적 경쟁 촉진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다만 단순히 시중은행 전환만으로 5대 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의 공고한 과점 체제를 깨기는 제한적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자본규모와 인지도 측면에서 열위에 머물러있다는 이유에서다.

대구은행의 1분기 기준 총자본은 약 4조9857억원이다. 시중은행 전환 이후 대구은행은 대주주 DGB금융지주의 증자를 통해 향후 5년간 7000억원의 자본을 확충할 계획이다. 대규모 증자를 감안해도 5조~6조원 수준으로 5대 은행의 총자본 23조~36조원과 비교하면 20조원 넘게 차이가 나는 수준이다. 대구은행의 원화대출금은 55조 5744억 원으로 전년 동기에 비해 약 10% 늘었으나, 1위 국민은행(343조 7000억 원)과 비교하면 6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지방소재 기업인 대구은행이 주요 고객이 몰려있는 수도권에서 얼마나 경쟁력을 발휘할지도 미지수다. 대구은행은 향후 3년간 수도권 및 강원·충청 등에 영업점 14개를 신설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수도권 영업을 통해 이익창출 능력을 제고하고 이를 지역소재 기업에 대한 자금공급 재원으로 활용하는 등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노력한다는 계획이다.

한 은행 관계자는 "시중은행 전환에 따라 금리경쟁력, 영업기반 등이 강화될 수 있겠지만 인지도를 높이고 자본을 대형은행 수준으로 확대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대구은행은)관계형 금융 등 지방은행의 장점을 살린 차별화된 전략을 수립해 시중은행으로 안착을 도모할 계획"이라며 "자체 비대면채널 및 외부플랫폼의 적극 활용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여, 낮은 금리의 다양한 상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계획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zero@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