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마티스학회, KCR 2024 명실상부 글로벌 학술대회 도약

조민규 기자 2024. 5. 16. 16:5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초록 3분의 2는 해외서 접수…성공한 연구자와 교류 시간 눈길

(지디넷코리아=조민규 기자)대한류마티스학회 제44차 학술대회 및 제 18차 국제학술대회(KCR 2024)가 16일부터 18일까지 콘래드 서울호텔에서 24개국 7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다.

이번 학술대회는 류마티스학을 전공하는 한국과 전세계 임상의사 및 기초의학자간 지식과 학술교류를 목적으로 한다.

특히 국내 개최 국제학술대회로서의 국제화 및 글로벌 특성을 명확히 제시했다. 접수 초록의 국외 비율이 전체의 3분의 2를 초과했고, 대부분의 강의와 구연발표, 포스터 벌표도 영어로 진행한다.

또 해외 초청연자는 네덜란드‧독일‧미국‧영국‧일본‧중국‧오스트리아‧캐나다 등 8개국에서 14명을 초청했다. 다니엘 알리타하(Daniel Aletaha, 오스트리아 비엔나의과대학 교수) 유럽 류마티스학회장이 키노트 강연자로 나서 류마티스관절염 치료의 새로운 경향인 정밀의학과 환자 참여 관련한 전략적 측면에 대해 발표하고,   다케우치 츠토무(Takeuchi, Tsutomu, 사이타마의과대학 교수) 아시아태평양류마티스학회장, 가와카미 아츠시(Kawakami Atsushi) 일본 류마티스학회장 등 세계 류마트스학 오피니언 리더가 참석해 최신 지견을 나눌 예정이다.

동아시아 류마티스학회에서 성장한 연구자의 재회와 교류의 시간도 마련된다. 아시아태평양 류마티스학회 멈버간 발표에는 2019년 서울에서 개최된 동아시아류마티스학회의 차세대 연구자 미팅에 초청된 젊은 연구자들이 한국, 일본, 중국 학계의 핵심 인재로 성장해 류마티스관절염의 정밀의학과 염증성 근염의 코호트 및 진단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

이와 함께 대만 류마티스확회와는 상호 교류를 이어나가는 상호 방문 및 발표를 진행하고, 국내 유관 학회와의 리더십 교류도 마련됐다. 이외에도 정밀의학, 디지털기기를 이용한 의료(원격 환자 모니터링, 원격의료 등), 세포치료(CAR-T 등)의 세계적 전문가들을 초청해 활발한 정보 및 의견교환이 있을 예정이다.

대한류마티스학회 학술대회가 16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16일부터 18일까지 열린다

학회 이신석 이사장은 ”국제학술대회로 개최하면서 학회로서는 터닝포인트를 맞았다. 해외에 많이 알려지고 해외 석학의 참석도 늘고 있을 뿐 아니라, 초록도 국내보다 더 많이 접수되면서 명실상부 국제학술대회가 됐다“며 ”국내 사정상 개최에 대해 많은 고민이 있었지만 외국에서 많은 석학들이 참석해 개최를 결정했다“고 말했다.

학회 성윤경 학술이사는 “이번 학술대회에는 24개국에서 700여명이 참가가 예상된다. 완전한 오프라인 학술대회로 준비했는데 의료현장 상황상 병원 당직 등 참석이 어려운 분들이 있어 온라인도 동시에 진행하는 하이브리드로 변경해 개최하게 됐다”며 “초록 접수도 전공의와 팰로우들이 많았는데 이런 영향으로 국내는 30% 줄고, 국외는 200% 늘었다. 더욱이 학생과 전공의 위한 프로그램과 공간을 마련했는데 참여하지 못하는데 아쉬움이 많다”고 말했다.

한편 대한류마티스학회는 5월20일부터 새 집행부가 들어선다. 제32대 회장에는 중앙대 의대 류마티스내과 송정수 교수(임기 2025년 5월18일까지), 제10대 이사장은 성균관의대 류마티스내과 차석훈 교수(임기 2026년 5월17일까지)가 맡는다.

이신석 이사장은 “2년간 일하면서 선거로 뽑힌 첫 이사장으로 당시 공약이 국제화 관련 내용 많았다. 2004년 아시아학회 개최 이후 2020년에도 도전했지만 안됐는데 2026년 아태 류마티스학회 개최하게 돼 가장 개인적으로도 의미가 있다”라며 “학회 국제화로 타국과 교류도 많이 만들었다. (해외 교수들이) 우리 학회에서 초록 발표가 도움 된다고 한다”고 소회를 밝혔다.

이어 “학회 40년이지만 핵심 미션과 가치 없었는데 지난해 만들었고, 류마티스 학회지 홈페이지도 새로 만들었다. 또 류마티스에 대한 국가관리를 위한 적정성 평가도 진행중에 있다”며 “다만 아쉬운 것은 류마티스 질환에 대한 국민 인식이 부족한 것이다. 치료와 진단을 잘 치료할 수 있도록 차기 집행부에서도 노력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조민규 기자(kioo@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