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의 기적"…가망 없다던 특전사 중사, 7개월 만에 '완치'

김영리 2024. 5. 16. 16: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야간 훈련 중 쓰러져 병원으로 옮겨진 특전사 중사가 기적적으로 의식을 되찾고 회복했다는 사연이 알려졌다.

15일 페이스북 페이지 '육군훈련소 대신 전해드립니다(육대전)'에는 "1%의 기적"이라는 제목의 글이 게시됐다.

아들을 군대에 보낸 A씨는 작년 8월 둘째 아들 B씨가 야간 훈련 중 산속에서 쓰러져 국군수도병원으로 이송됐다는 날벼락 같은 소식을 들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7개월 치료 끝에 완치 후 복직 신고
글 작성자 A씨가 페이스북을 통해 공개한 사진. 사연의 주인공인 A씨의 아들 B씨가 병원 침실에 누워있고, 동료 군인들이 주변을 둘러싸고 서 있다. /사진=페이스북 캡처


야간 훈련 중 쓰러져 병원으로 옮겨진 특전사 중사가 기적적으로 의식을 되찾고 회복했다는 사연이 알려졌다.

15일 페이스북 페이지 '육군훈련소 대신 전해드립니다(육대전)'에는 "1%의 기적"이라는 제목의 글이 게시됐다.

작성자 A씨는 이 사연의 주인공이 자신의 둘째 아들이라며 운을 뗐다. A씨의 둘째 아들은 "아버지처럼 군인이 되겠다"며 입대해 1공수특전여단에서 중사로 군 생활을 하고 있었다.

아들을 군대에 보낸 A씨는 작년 8월 둘째 아들 B씨가 야간 훈련 중 산속에서 쓰러져 국군수도병원으로 이송됐다는 날벼락 같은 소식을 들었다. A씨는 가족들과 함께 군 병원으로 갔고, 담당의로부터 "응급조치는 했으나 가망이 없다"는 말을 들었다고 한다. A씨는 B씨의 정확한 진단명은 밝히지 않았다.

이후 B씨는 상급종합병원으로 옮겨졌으나 하지만 그곳 의료진도 "자가호흡이 안돼 오늘을 못 넘길 수도 있다"며 생존확률이 1%도 안 된다고 설명했다.

A씨는 아들의 동료 군인들이 포기하지 않고 "좀 더 치료를 해보자"라는 태도를 보였다고 전했다. A씨는 "의무 사령부 위탁 환자 관리팀 측에서 '아직 젊고 군인정신이 있기에 포기하기 이르니 희망을 가지고 좀 더 치료하자'며 의료진을 설득했고, 이후 신장투석기를 24시간 가동하는 등 조치가 이루어졌다"면서 당시 상황을 전했다.

이어 "의무사령부 위탁 환자 관리팀과 육군본부 환자지원팀의 도움 덕분에 알아듣기 힘든 의료용어도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며 "힘이 많이 됐다. 정말 감사하다"고 재차 고마움을 표했다.

동료들의 정성이 닿은 건지 B씨는 기적적으로 살았다. 뇌와 장기도 정상으로 돌아왔고 7개월 만에 퇴원해 복직 신고까지 했다. A씨는 아들의 쾌유를 설명하며 "아들이 동료들 덕분에 1%의 기적으로 살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남들은 '그런 상황에도 자식을 또 군에 보내느냐'고 묻는다"면서 "놀라서 불안하긴 하지만 한편으론 (동료들이 있어) 안심이 된다. 나도 35년간의 군 생활을 마무리하고 전역했지만 쉽게 보지 못한 모습들이었다"고 말했다.

사연을 접한 누리꾼들은 "정말 기적 같은 일이다. 세상이 아직은 따뜻하다", "주변인들이 모두 노력한 결과가 이렇게 나타났다", "회복하셔서 다행이다" 등의 반응을 남겼다.

김영리 한경닷컴 기자 smartkim@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