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정부 “중국 커넥티드카 규제”…의회도 대중국 견제 입법 나서

최주현 2024. 5. 16. 16:24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나 러몬도 미 상무장관이 지난 3월 태국 방콕에서 열린 행사에 참석해 발언하는 모습 (사진 출처 : AP/뉴시스)

중국산 전기차 등에 대한 관세를 대거 인상한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산 커넥티드카에 대해서도 올해 가을 규제 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미 의회 역시 중국산 드론에 대한 관세 인상 법안을 발표하는 등 미국의 대중국 견제가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지나 러몬도 미 상무장관은 워싱턴 D.C. 의회에서 열린 상원 세출위원회 소위원회에 출석해 "국가 안보 위험이 상당히 심각해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커넥티드 차량은 무선 네트워크로 주변과 정보를 주고 받고 자율주행, 운전자 보조 시스템 등이 가능한 이른바 스마트카입니다.

러몬도 장관은 "커넥티드 차량에 수많은 센서와 칩이 있는데 중국산의 경우 베이징에서 생산되는 소프트웨어로 제어된다"며 "운전자의 운전 패턴과 차 안에서 무슨 말을 하는지 등 미국인들에 대한 데이터가 중국으로 넘어갈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하루 전, 중국산 배터리와 전기차 등에 관세 인상 방침을 밝힌 바 있습니다.

미 의회도 중국 때리기에 나섰습니다. 공화당 소속 엘리스 스테파닉 하원의원은 중국산 드론에 대한 관세를 30%에서 시작해 매년 5%씩 추가 인상하는 내용의 법안을 대표 발의했습니다. 미 하원 감독위원회는 연방기관이 중국 주요 바이오기업과 거래하는 것을 금지하는 바이오 안보 법안을 초당적으로 의결해 하원 전체회의로 넘겼습니다.

워싱턴 최주현 특파원

최주현 기자 choigo@ichannela.com

Copyright © 채널A.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