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빛 받으면 피부 확 늙는 이유...자외선 말고도 '이것' 때문

박효순 2024. 5. 16. 16: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5월 중순이지만 이미 본격적인 여름 날씨를 보이면서 기온이 올라가고, 햇빛이 점점 강해지고, 낮이 길어져 햇빛의 양이 증가하는 등의 이유로 인해 '광노화'의 위험성이 커지고 있다.

이 중 자외선이 피부 광노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과 전문의 임이석 원장은 "일반적으로는 햇볕에서 나오는 자외선이 피부에 색소침착을 일으키고 노화를 촉진한다는 사실을 잘 알려져 있다"면서 "햇빛은 자외선뿐 아니라 적외선, 즉 열(heat)도 방출하는데, 이 또한 피부노화를 유발한다"고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자외선뿐 아니라 적외선도 피부노화 유발
태양광선은 적외선 52%, 가시광선 34%, 자외선 5%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자외선이 피부 광노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5월 중순이지만 이미 본격적인 여름 날씨를 보이면서 기온이 올라가고, 햇빛이 점점 강해지고, 낮이 길어져 햇빛의 양이 증가하는 등의 이유로 인해 '광노화'의 위험성이 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피부노화 요인은 내인성 요인과 외인성 요인으로 구분한다. 전자는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생기는 자연 노화이고, 후자는 오랫동안 햇빛에 노출되어 생기는 광노화가 대표적이다.

태양광선은 적외선 52%, 가시광선 34%, 자외선 5%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자외선이 피부 광노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외선 A는 파장 320~400나노미터(nm)이며 피부 진피까지 침투하여 노화를 촉진하고 색소침착을 유발한다. 자외선 B는 파장 280~320nm로 표피에만 작용하나 강력한 세포 파괴력이 있고 심하면 피부가 탄다.

가시광선이나 적외선은 상대적으로 파장이 길어 피부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최근의 여러 연구 결과에 의하면 적외선에 의한 열 역시 피부 손상 및 노화에 영향을 상당하게 미친다.

생활 속에서도 열에 노출되는 경로가 다양하다. 사우나·찜질방 같은 장소의 직접적인 열 노출은 물론, 흔히 접할 수 있는 사무실 환경에서의 컴퓨터 모니터, 산업 현장에서의 기계 열기 등 열에 노출되는 경로는 다양하다.

햇빛에 피부 온도 상승하면 탄력섬유 손상으로 주름살 늘어나

이같이 환경 및 생활 속 열로 인해 피부 온도가 올라가 피부 세포에 영향을 주고, 피부노화 현상으로 이어지는 것을 '피부 열노화'라고 한다.

충북대 대학원 화장품산업학과 홍진태 교수팀(이지예)에 따르면, 피부 온도가 상승해서 이른바 '피부 온난화' 상태가 되면 피부의 주요 구성 물질인 콜라겐 합성이 감소하고, 피부에 존재하는 여러 단백질 분해 효소가 증가한다. 이 때문에 콜라겐과 탄력섬유가 손상되며, 결과적으로 피부 균형이 깨져 탄력을 잃고 주름이 생기게 된다.

광노화 피부의 대표적인 현상인 일광탄력섬유증은 열에 의해서도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피부 온도가 증가하면 혈관이 확장되어 불필요한 혈관 생성이 유발되고, 이러한 현상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 붉고 균일하지 않은 피부 톤으로 바뀌게 된다. 피부에 열을 지속해서 노출하면 피부 주름 형성 및 피부 두께가 얇아지는 현상은 동물모델 및 사람 조직을 이용한 연구에서 확인된 바 있다.

피부과 전문의 임이석 원장은 "일반적으로는 햇볕에서 나오는 자외선이 피부에 색소침착을 일으키고 노화를 촉진한다는 사실을 잘 알려져 있다"면서 "햇빛은 자외선뿐 아니라 적외선, 즉 열(heat)도 방출하는데, 이 또한 피부노화를 유발한다"고 설명했다.

선블록·양산 등 필수…미지근한 물 세안 시작, 찬물 마무리

열노화가 유발되면 피부 진피층의 콜라겐 합성이 떨어지고 탄력 세포가 파괴되면서, 피부 탄력이 급격히 저하된다. 자외선과 적외선을 적절하게 차단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먼저 자외선 노출 최소화를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이 자외선 차단제(선블록)를 잘 사용하는 것이다. 자외선 차단제는 날씨나 계절에 상관없이, 자외선 차단 등급의 지수가 높은 차단제를 바르는 것이 좋다.

자외선 차단제와 함께 외출 시 챙이 넓은 모자를 착용하거나 양산을 쓰고, 헐렁하고 진한 색상의 옷 등을 활용해 자외선과 열기(적외선)를 최소화한다. 강한 햇볕에 상당히 노출되었다면 처음엔 미지근한 물, 이어 차가운 물로 세안해서 피부의 열을 서서히 식힌다.

자외선과 적외선 방지에 도움이 되는 비타민 C와 비타민 E 등의 항산화제 섭취도 효과적이다. 수분 섭취 역시 중요하다. 이뇨 작용이 있는 커피나 알코올은 삼가고 생수를 충분히 자주 마시도록 한다. 이미 과도한 자외선 및 적외선 노출로 인해 피부 손상이 많이 진행됐다면 콜라겐과 엘라스틴이 합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전문적인 치료가 요구된다.

박효순 기자 (anytoc@kormedi.com)

Copyright © 코메디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