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임이 없어지는 게 우리 목표”···10주년 맞은 ‘성소수자부모모임’[성소수자 혐오 반대의 날]

배시은 기자 2024. 5. 16. 15:2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성소수자부모모임’의 대표이자 창립자인 하늘씨가 지난 14일 경향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배시은 기자

성소수자 가족들이 모인 ‘성소수자부모모임’의 대표이자 창립자인 하늘(활동명)씨는 15년 전 아들이 게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때를 생생하게 기억한다. 독실한 가톨릭 신자인 그는 기도하며 신을 찾았다. 엄마가 자신이 게이임을 알게 됐다는 충격에 입을 닫아버린 아들에게 말을 건네기 위해 편지를 썼다. “엄마는 지구가 뒤집혀도 네 편이야. 너에게는 아무 문제가 없어. 사랑한다.” 아들이 ‘엄마는 네 편’이라는 말을 놓칠까 봐 빨간색 볼펜으로 밑줄도 쳤다.

하늘씨는 문득 “나와 비슷한 사람도 있을까”라고 생각했다. 그의 고민은 부모 모임의 단초가 됐다. 17일은 ‘국제 성소수자 혐오 반대의 날(IDAHOBIT)’이다. 경향신문은 올해 10주년을 맞이한 부모모임의 대표 하늘씨와, 그와 함께 모임을 만든 지인씨를 지난 14일 만났다.

하늘씨와 지인씨는 서로가 같은 걱정을 안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부모모임을 꾸렸다고 한다. 아들이 게이로 커밍아웃한 뒤 방황했던 하늘씨는 “앞으로 얘가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 내 주변에는 성소수자가 없는데 어떻게 하면 더 이해할 수 있을까, 이런 고민이 돼서 성소수자 부모들을 직접 찾게 됐다”고 말했다. 지인씨는 청소년 시절 커밍아웃한 아들을 보며 “우리 아이보다 성인인 당사자들이 잘 살아가고 있는지 알고 싶어서 수소문하던 중에 하늘씨를 알게 됐고 모임을 만들게 됐다”고 했다.

‘성소수자부모모임’의 10주년 행사가 지난 11일 서울 동작구에서 진행되고 있다. 성소수자부모모임 제공

현재 부모모임은 성소수자 가족 간의 네트워킹을 돕는 월례 정기모임, 당사자의 커밍아웃 과정을 함께 준비하는 ‘커밍아웃 워크숍’ 등을 진행하고 있다. 매달 둘째주 토요일에 열리는 정기모임에는 50명이 넘게 모인다.

두 사람은 부모모임이 ‘안전한 대피소’라고 말했다. 매번 얼굴이 낯선 당사자와 부모들이 찾아오는데 처음 보는 사이임에도 커밍아웃에 관한 고민, 가족과의 갈등 등 마음 속 깊숙한 곳에 감춰뒀던 이야기를 꺼내고 울고 웃는다. 하늘씨는 “내가 무슨 말을 해도 비난하지 않고 경청해주는 가장 안전한 장소라는 걸 서로가 아는 것 같다”고 말했다.

하늘씨는 “모임을 처음 찾아온 부모들은 긴장과 불안이 가득한 표정으로 들어온다”며 “문고리를 돌리지 못하고 머뭇거리지만 3시간 가량 진행되는 모임이 끝나면 다들 환하게 웃으면서 돌아간다”고 말했다.

부모모임은 성소수자 자녀를 가진 부모들에게 “공부하라”고 당부한다. 지인씨는 “우리나라에서는 다양성교육이 정말 부족하다”며 “어린 시절부터 다양한 정체성에 대해 가르쳐주는 교육이 있었다면 혐오하고 차별하는 일은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부모가 힘들다면 당사자인 자녀는 10배 더 힘들다. 혐오 발언을 들어도 당사자가 훨씬 더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성소수자부모모임이 2017년 서울 퀴어퍼레이드에 참여해 행진하고 있다. 성소수자부모모임 제공

10년간 부모모임을 하면서 기억에 남는 일은 수도 없이 많다. 부모모임은 매년 ‘서울 퀴어퍼레이드’에 부스를 열고 참가했다. 하늘씨는 부스에서 만난 한 성소수자 청년의 e메일이 잊히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키가 큰 청년이 내게 안기더니 대성통곡을 하며 정체성 때문에 회사도 그만뒀다고 하소연을 하더라”며 “얼마 후에 메일로 ‘어머니 덕분에 용기를 내서 회사에 다시 다니게 됐다’고 전해줬던 것이 기억에 남는다”고 말했다.

이들은 지난 10년간 시민들의 의식은 전진했지만 정부와 정치권의 모습에선 퇴행이 느껴진다고 말했다. 차별금지법이 21대 국회에서 여러 차례 발의됐지만 아직 통과되지 못했고, 정치권에서 성소수자 혐오 발언도 끊이지 않고 있다. 지인씨는 “최근 학생인권조례도 폐지됐고 서울 퀴어퍼레이드도 광장에서 열지 못하게 하는 걸 보면서 안타까운 마음뿐”이라고 말했다.

두 사람은 자신들에게 ‘더 넓은 세계를 만나는 통로’가 됐던 부모모임이 없어지는 게 목표라고 입을 모았다. 지인씨는 아들의 커밍아웃 직후를 회상하며 “왜 불행할 거라고만 생각하고 슬퍼했었나 싶다”며 “행복하게 사는 당사자들도 많고 사회도 충분히 많이 바뀐 것을 보면 이제 슬픔이 아닌 희망을 느낀다”고 말했다. 하늘씨는 “부모모임 이름으로 여성 인권이나 장애 인권 등 여러 사회적 약자 문제에 연대하게 됐다”며 “적지 않은 나이임에도 굉장히 많이 배우고 성장한 것 같아 성소수자들에게 고맙다”고 말했다. “부모모임의 목표는 결국 모임이 없어지는 것”이라는 하늘씨는“모임이 없어진다는 건 우리 없이도 성소수자가 안전하게 살 수 있는 세상이 됐다는 뜻”이라고 말하며 웃었다.


☞ “함께 아파하고, 다시 살아가요”…성소수자 곁에 선 상담사들[성소수자 혐오 반대의 날]
     https://www.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405161545001

국제 성소수자 혐오 반대의 날(IDAHOBIT)는 1990년 5월17일 세계보건기구가 국제질병분류에서 ‘동성애’를 정신장애 부문에서 삭제한 기념일입니다. 성소수자 커뮤니티는 이날을 기념해 성소수자 혐오와 차별을 반대하는 날로 정하고 행사 등을 통해 지금까지 그 뜻을 알리고 있습니다. 경향신문은 ‘국제 성소수자 혐오 반대의 날’을 기념해 ‘성소수자의 바로 옆에 선 이들’을 인터뷰 했습니다.

배시은 기자 sieunb@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