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명 높은 교통' 확 바뀌나…솔루션 계획 내놓은 부산시

원동화 기자 2024. 5. 16. 15:1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6년 교통사고 사망 70명 이하 목표 등 제시
한문철 변호사, 야광조끼 300벌 부산시에 기부
[부산=뉴시스] 부산시는 16일 남구 도로교통공단 부산지부 교육장에서 박형준 시장 주재로 '제15차 부산미래혁신회의'를 개최했다. (사진=부산시 제공) 2024.05.16.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부산=뉴시스]원동화 기자 = 부산시가 교통사고 사망자를 줄이고 안전한 교통환경을 만들기 위해 안전대책을 논의했다.

부산시는 16일 남구 도로교통공단 부산지부 교육장에서 박형준 시장 주재로 '제15차 부산미래혁신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회의는 박 시장을 비롯해 배문수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센터장, 이준 한국교통연구원 연구위원, 김시곤 대중교통포럼 회장, 오철 대한교통학회 부회장, 한문철 변호사 등 교통안전 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부산경찰청, 한국교통안전공단 부산본부, 도로교통공단 부산지부, 부산교통문화연수원 등 지역 교통안전 실무기관장들도 참석해 의견을 나눴다.

회의는 부산의 교통사고 사망자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시민의 삶과 직결된 안전한 교통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교통사고 취약 분야에 대한 맞춤형 안전대책 등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시는 100명 대로 머물러 있는 교통사고 사망자(고속도로 제외)를 2026년 70명 이하로 낮추기 위해, 지역안전지수(교통사고 분야) 2등급, 지역문화지수 5위권 내 진입을 목표로 한 ‘맞춤형 교통안전 솔루션’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맞춤형 교통안전 솔루션은 고령자(보행자·운전자), 이륜차, 화물차에 대한 안전 강화에 중점을 뒀다. ▲교통약자 안전권 보장 ▲교통수단별 안전강화 및 의식개선 ▲안전하고 편리한 보행환경 조성 ▲사람 중심의 도로 교통체계 구축, 총 4개 분야 35개 세부과제로 구성했다.

교통약자 안전권 보장을 위해서 고령보행자 교통사고 다발지역 집중개선, 고령보행자 중심 신호운영, 고령보행자 안전교육 강화, 고령운전자 식별용 표지 부착 활성화, 고령자 운전면허증 자진반납 우대제도 지원 강화를 중점 추진한다.

어린이보호구역도 개선한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강화, 노인보호구역 개선,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 설치 등도 계속해서 추진한다.

교통수단별 안전강화 및 의식개선은 후면번호판 무인교통단속장비 구축, 배달라이더 보험료 지원, 배달플랫폼사 안전교육 지원을 할 방침이다.

안전하고 편리한 보행환경을 위해서 보행환경개선지구 조성, 스마트 횡단보도 조성, 횡단보도 디자인 개선, 활주로형 횡단보도 설치, 차 없는 거리 조성 등 연차별로 추진해 사람 중심이 되는 교통안전 확보에 전념할 계획이다.

사람 중심의 도로교통체계 구축을 위해 첨단기술을 접목한다. 지능형 교통체계 구축, 자율주행서비스 시범운행지구 조성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사고위험요소 제거 및 원활한 교통흐름 확보를 도모하고자 한다.

이날 참석한 전문가들은 ▲야간시간 시인성 강화 ▲교통안전정책 3E(안전시설, 교통단속, 안전교육) 강화와 전통시장 및 지하철역까지로의 노인보호구역 확대 ▲어린이보호구역 등하교길 실태조사를 통한 어린이 통학로 안전확보 ▲과실성사고 저감을 위한 유도선 표시 확대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연계 어르신 안전체험교육 실시 ▲교통안전 예산 확대 ▲교통안전 거버넌스 운영 활성화 ▲교통안전담당자 역량향상 ▲이륜차 광역단속 강화 등 다양한 방안을 제안했다.

박형준 시장은 "부산의 교통사고 사망자를 대폭 줄이기 위해 사고 3대 취약 분야인 고령자, 화물차, 이륜차 등을 포함한 시 맞춤형 교통정책 추진을 통해 글로벌 시민안전도시 부산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 한문철 변호사는 어두운 곳에서도 사람 식별이 쉬운 반광조끼 300매 기부 의사를 밝혔다. 새벽과 야간시간 교통사고 위험에 노출되기 쉬운 폐지 수집 어르신들에게 전달해 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부산시는 2017년 전국 최초로 '안전속도 5030' 정책을 영도구를 대상으로 시범 운영한 후 2019년 시 전역으로 확대했다. 2018년부터는 고령운전자 운전면허 자진반납제도를 선제적으로 시행해 반납률 3.5%로 전국 1위를 기록하는 등 그간 다양한 노력을 통해 교통사고와 사망자 수를 감소 추세로 전환했다.

하지만 부산은 여전히 고령자 사고, 이륜차 및 화물차 사고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역의 교통안전 수준을 나타내는 교통안전지수(교통사고 분야) 역시 4등급, 교통문화지수가 11위로 평가되는 등 저조한 결과가 보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dhwon@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