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하반기 유료방송 가입자 수 3631만명...2015년이후 첫 감소

임은수 기자 2024. 5. 16. 15: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하반기 국내 유료방송 가입자 수가 3631만명으로 지난 2015년 하반기 조사 이후 처음으로 가입자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2023년 하반기 유료방송 가입자 수는 3631만106명으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3만7389명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반기별 가입자수. 과기정통부

지난해 하반기 국내 유료방송 가입자 수가 3631만명으로 지난 2015년 하반기 조사 이후 처음으로 가입자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2023년 하반기 유료방송 가입자 수는 3631만106명으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3만7389명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간 IPTV 가입자 수는 꾸준히 증가했으나 SO와 위성방송 가입자 수는 계속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하반기 기준 가입자 수는 IPTV 2092만5902명(57.63%)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SO는 1254만1500명(34.54%), 위성방송은 284만2704명(7.83%)으로 집계됐다.

사업자별 가입자 수 상위사업자는 KT 882만7392명(24.31%), SK브로드밴드(IPTV) 668만4857명(18.41%), LG유플러스 541만3653명(14.91%), LG헬로비전 361만9909명(9.97%), KT스카이라이프 284만2704명(7.83%) 순으로 나타났다.

유료방송 사업자 중에서 가장 먼저 기술중립 서비스를 도입한 SK브로드밴드(SO)는 지난해 상반기 대비 가입자 수 및 점유율이 MSO중에서 유일하게 증가했다.

매 반기별로 발표되는 유료방송 가입자 수는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가 인터넷멀티미디어방송(IPTV)·종합유선방송(SO)·위성방송의 사업자별 가입자 수 검증을 위한 실무조사를 실시해 검증 결과를 과기정통부에 제출하고, 민간위원으로 구성된 전문심의회에서 심의·의결해 확정한다.

과기정통부는 "고품질의 기술중립 서비스가 확산될 수 있도록 중소 SO들을 대상으로 기술중립 서비스를 위한 셋톱박스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며 "향후 지원 대상을 더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세종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