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집값 5개월 연속 하락…서울만 상승, '똘똘한 한채' 효과?

조성준 기자 2024. 5. 16. 15: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의 주택종합 매매가격이 지난달 보합에서 상승으로 전환됐다.

수도권(-0.11→-0.01%)과 지방(-0.13%→-0.09%)에서도 하락 폭이 축소됐고 서울(0.00%→0.09%)은 보합에서 상승 전환했다.

수도권(0.19%→0.21%)은 상승폭 확대, 서울(0.19%→0.18%)은 상승폭 축소, 지방(-0.08%→-0.06%)은 하락폭 축소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4년 4월 전국주택가격동향/제공=한국부동산원


서울의 주택종합 매매가격이 지난달 보합에서 상승으로 전환됐다. 수도권과 지방에서도 하락폭을 축소하며 집값 바닥론을 지피고 있다. 하지만 최근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이 사실상 없어진 만큼 반등 기세가 더 이어질지는 불확실하다.

16일 한국부동산원 '2024년 4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전국 주택종합(아파트·연립·단독주택 등) 가격은 0.05% 내려 전월(-0.12%) 대비 낙폭이 줄었다. 수도권(-0.11→-0.01%)과 지방(-0.13%→-0.09%)에서도 하락 폭이 축소됐고 서울(0.00%→0.09%)은 보합에서 상승 전환했다.

서울 집값이 상승세를 나타낸 것은 지난해 11월(0.10%) 이후 5개월 만이다. △12월 -0.07% △올해 1월 -0.12% △2월 -0.09% △3월 0%의 추이를 나타내 왔다.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도 전월 0.02% 하락에서 4월 0.13%로 오름세에 들어섰다. 수도권(-0.15%→0.00%)은 보합 전환했고, 인천(-0.04%→0.05%)은 상승 전환, 경기(-0.25%→-0.09%)는 하락 폭이 축소됐다.

서울시 자치구별 2024년 4월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그래프/제공=한국부동산원

서울 내에서는 성동구(0.25%)는 금호·행당·옥수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용산구(0.22%)는 이촌·보광동 구축이 마포구(0.21%)는 염리·대흥동 선호단지에서 이어 광진구(0.13%)까지 강북지역을 매매가를 하락에서 상승으로 끌어올렸다. 강남지역에서는 서초구 반포·잠원동 선호단지의 상승으로 0.2%가 송파구는 잠실·신천동 역세권 인근에서 0.2% 상승을 기록하며 보합에서 상승으로 전환됐다.

한편 경기(-0.07%)는 안양 동안구·남양주시·고양 일산동구 위주로 하락. 인천(-0.05%)은 부평·중·미추홀구에서 하락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서울 주요 지역, 선호 단지 위주로 간헐적 상승거래가 발생했고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 개통 등 교통 호재 영향을 받는 수도권 일부 지역이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전국 주택종합 전세가는 0.07%로 전월대비(0.05%) 상승폭 확대됐다. 수도권(0.19%→0.21%)은 상승폭 확대, 서울(0.19%→0.18%)은 상승폭 축소, 지방(-0.08%→-0.06%)은 하락폭 축소됐다.

수도권의 경우 신축·역세권 등 선호단지 위주로 공급이 부족해지며 상승폭이 커졌다. 서울은 성동구(0.39%)는 금호동3가·행당동 대단지 위주로, 노원구(0.35%)는 월계·중계동 역세권 소형 규모에서 상승이 이뤄졌다. 이어 동작·용산구가 0.34%, 양천·영등포구가 0.2%로 상승을 기록했다.

전국의 월세가는 전국은 0.08%로 전월대비(0.09%) 상승폭 축소됐다. 수도권(0.16%→0.17%)은 상승폭 확대, 서울(0.15%→0.14%) 및 지방(0.03%→0.01%)은 상승폭이 줄어들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대내·외 주택시장 환경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전국적으로 매매거래는 한산한 관망세가 유지됐다"며 "전·월세의 경우 선호 지역·단지 위주로 매물 부족 현상 보이며 상승세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조성준 기자 develop6@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