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다른 맛, 저칼로리로…반백살 ‘장수 간식’의 회춘

남지원 기자 2024. 5. 16. 14:5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초코파이하우스, 쌍쌍바 카라멜맛, 게토레이 제로, 맛동산 프레첼맛. 각 업체 제공

50살 초코파이, 49살 맛동산, 45살 쌍쌍바…. 여전히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높지만 브랜드 이미지는 다소 노후화된 ‘장수 간식’들이 옷을 갈아입으며 회춘하고 있다. 색다른 맛을 가미하거나 건강을 찾는 트렌드를 반영해 저칼로리로 변신하고, 팝업스토어를 열어 간식의 주된 수요층인 1020세대에게 어필하는 마케팅도 활발해졌다.

16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오리온은 1974년 출시돼 올해로 50돌을 맞은 초코파이를 리뉴얼한 ‘초코파이하우스’를 지난 2월 출시했다. 케이크 속에 마시멜로 대신 우유크림을 넣어 부드러운 식감과 맛을 살렸다는 이 제품은 출시 80여일 만에 낱개 기준 약 2000만개 판매됐다.

오리온 초코파이는 여전히 초코케이크류 선두주자이지만 젊은 세대 사이에서는 ‘나이든 과자’라는 인식도 강했다. 실제로 매출도 떨어지는 추세였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식품산업통계정보에 따르면 소매점 기준 오리온 초코파이 매출은 2020년 1029억400만원에서 지난해 870억5800만원으로 감소했다. 오리온 관계자는 “기존 초코파이의 고유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원료와 맛·식감·모양을 획기적으로 바꾸는 ‘스핀오프 전략’으로 젊은 세대에게도 트렌디한 간식으로 다가가게 된 것 같다”고 분석했다.

초코파이 외에도 기존 과자에 새로운 맛을 불어넣는 시도가 잇따르고 있다. 해태아이스는 1979년 출시된 대표 아이스바 ‘쌍쌍바’에 카라멜 맛을 더한 ‘쌍쌍바 카라멜’을 최근 출시했다. 해태제과는 1975년 출시된 맛동산을 리뉴얼한 ‘맛동산 프레첼맛’을 내놨다. 중독적인 맛을 즐기는 젊은층의 입맛을 겨냥해 달콤짭짤한 맛과 고소한 빵 풍미를 더했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최근 건강에 관심있는 소비자들이 저당 음료를 찾는 일이 늘어나면서 인공감미료를 활용해 당과 칼로리를 낮춘 ‘제로칼로리’ 음료를 출시하는 움직임도 활발하다. 앞서 칠성사이다·밀키스·실론티 등 스테디셀러 음료의 제로칼로리 버전을 선보인 롯데칠성음료는 최근 1987년 국내 판매를 시작한 ‘게토레이’에서 당을 뺀 ‘게토레이 제로’를 출시했다. 롯데칠성음료의 탄산음료 매출 중 제로음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1년 12%에서 지난해 30%로 늘었다.

라면 카테고리에서도 ‘저칼로리화’ 트렌드가 눈에 띈다. 농심은 1984년 출시된 짜파게티를 유탕면 대신 건면으로 바꾼 ‘짜파게티 더블랙’을 최근 출시했다. 짜파게티 더블랙의 열량은 465㎉로 기존 짜파게티(610㎉)보다 20%가량 낮다.

최근 젊은 세대 사이에서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는 공간이 인기를 끌면서 번화가에서 일시적으로 운영하는 ‘팝업스토어’를 선보이는 식품 브랜드도 늘었다. 삼립은 정통크림빵 60주년을 맞아 MZ세대의 ‘핫플레이스’로 꼽히는 서울 성동구 성수동 일대에서 팝업스토어를 열고 마케팅을 펼쳤다. 농심 짜파게티, 빙그레 투게더 등도 성수동 팝업스토어에서 소비자들과 만났다.

남지원 기자 somnia@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