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AI·빅데이터분석·IoT 도입률 OECD 1위"

윤소진 2024. 5. 16. 14:5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간한 '디지털경제전망보고서 2024 1권'에서 한국이 인공지능(AI)·데이터분석·사물인터넷(IoT) 도입률 1위에 올랐다고 16일 밝혔다.

AI·메타버스 등 디지털 분야의 경제와 기술 현황과 전망을 다루는 이 보고서에 따르면 OECD 회원국 내 기업들은 클라우드 컴퓨팅(49%)과 사물인터넷(27%) 기술을 주로 도입하고 있으나, 빅데이터 분석(14%)과 인공지능(8%)은 비용 상의 문제 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도입이 느린 편으로 조사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OECD 디지털경제전망보고서 2024 1권 발간

[아이뉴스24 윤소진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간한 ‘디지털경제전망보고서 2024 1권’에서 한국이 인공지능(AI)·데이터분석·사물인터넷(IoT) 도입률 1위에 올랐다고 16일 밝혔다.

OECD 디지털 기술 도입률 중 우리나라 순위.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지털경제전망보고서는 OECD 디지털정책위원회가 주도해 회원국의 통계자료와 설문 응답을 바탕으로 디지털 분야의 주요 통계와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보고서다.

AI·메타버스 등 디지털 분야의 경제와 기술 현황과 전망을 다루는 이 보고서에 따르면 OECD 회원국 내 기업들은 클라우드 컴퓨팅(49%)과 사물인터넷(27%) 기술을 주로 도입하고 있으나, 빅데이터 분석(14%)과 인공지능(8%)은 비용 상의 문제 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도입이 느린 편으로 조사됐다. 특히 소규모 기업일수록 이러한 추세가 강하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기업들의 디지털 기술 도입률은 다른 OECD 회원국에 비해두드러지는 성과를 보였다. 사물인터넷(53%), 빅데이터 분석(40%), 인공지능 기술(28%) 도입률에서 각각 OECD 1위를 차지했으며,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률(70%) 또한 5위를 차지하는 등 산업 전반적으로 매우 신속하게 디지털 新기술을 적용하고 있는 국가로 평가됐다.

이밖에도 2011~2022년 OECD 회원국의 정보통신기술(ICT) 부문 경제는 전체 경제에 비해 2.5배 빠른 평균 5.3%의 성장률을 보였으며, OECD 회원국들은 인공지능, 메타버스 등 새로운 기술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진흥을 위해 범국가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새로운 기술의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관리방안도 함께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책 사례로는 미국의 2020 AI 이니셔티브법, 유럽의 Horizon Europe(R&D 프로그램), G7의 생성형 AI에 대한 히로시마 프로세스 등이 언급됐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인공지능 지역확산 추진방향’. ‘K-클라우드 프로젝트’, ‘메타버스 신산업 선도전략’, ‘메타버스 윤리원칙’ 등 이번 정부에서 역점을 두고 추진한 디지털 신기술 분야별 주요 정책이 소개됐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OECD 디지털경제전망보고서를 통해 OECD 국가들의 정책 동향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디지털 분야의 강점과 약점을 확인하여 디지털 모범국가로서 국민이 체감하는 성과를 창출하는 데 활용해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윤소진 기자(sojin@inews24.com)

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