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러 정상회담 시작…시진핑 "양국 관계 발전, 세계 평화에 도움"

정윤영 기자 2024. 5. 16. 13:5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중국을 국빈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협력과 결속을 호소했다.

시 주석은 이날 푸틴 대통령과의 소인수 회담 모두발언에서 "친애하는 푸틴 대통령님, 나의 오랜 친구여, 중국 국빈방문을 환영한다. 얼마 전 당신은 러시아의 새 대통령으로 취임하여 공식적으로 다섯 번째 대통령 임기를 시작했는데 다시 한 번 진심으로 축하드린다"며 "당신의 지도 아래 러시아 국가의 발전과 건설이 반드시 새롭고 더 큰 성과를 거둘 수 있으리라 믿는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푸틴, 집권 5기 시작 이후 첫 해외 순방지로 방중
푸틴 "중러 관계, 기회주의적이지 않아"
16일(현지시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중국 베이징을 국빈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악수하고 있다. 2024.05.16. ⓒ 로이터=뉴스1 ⓒ News1 정윤영 기자

(서울=뉴스1) 정윤영 기자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중국을 국빈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협력과 결속을 호소했다.

중국인민라디오방송과 타스·리아노보스티(RIA)통신에 따르면 시 주석은 16일 최고급 리무진 차량인 '아우루스'에서 내린 푸틴 대통령을 반갑게 맞이한 뒤 악수를 건넸다. 이후 중러 정상은 천막이 있는 특별 제작된 단상에 올라 중국 인민해방군 군악대의 공연을 관람했다.

시 주석은 이날 푸틴 대통령과의 소인수 회담 모두발언에서 "친애하는 푸틴 대통령님, 나의 오랜 친구여, 중국 국빈방문을 환영한다. 얼마 전 당신은 러시아의 새 대통령으로 취임하여 공식적으로 다섯 번째 대통령 임기를 시작했는데 다시 한 번 진심으로 축하드린다"며 "당신의 지도 아래 러시아 국가의 발전과 건설이 반드시 새롭고 더 큰 성과를 거둘 수 있으리라 믿는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중국과 러시아 수교 75주년을 기념하는 것은 올해 양국 관계 발전의 주요 흐름이다. 4반세기를 거쳐온 중러 관계는 우여곡절을 겪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더욱 강해졌고 국제정세의 시련을 이겨내며 주요국과 주변국들이 존경할 수 있는 모범을 보였다"고 했다.

그는 "지난 몇 년 동안 저는 대통령과 40번 이상 만나 긴밀한 소통을 유지하며 중러 관계의 건강하고 안정적인 발전을 위한 전략적 지도를 제공해 양국 관계의 건전하고 안정적이며 원활한 발전을 보장했다"고 말했다.

이어 "오늘날의 중러 관계는 어렵게 얻은 것이며 양측이 소중히 여기고 보살펴야 할 가치가 있다. 중러 관계의 안정적인 발전은 양국과 양국 인민의 근본적인 이익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지역은 물론 세계의 평화와 안정, 번영에도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여정에서 중국은 항상 러시아 측과 상호 신뢰하는 좋은 이웃, 좋은 친구, 좋은 동반자가 되고 양국 국민의 세대 우호를 지속적으로 공고히 하고 각자의 국가의 발전과 진흥을 함께 실현하며 세계의 공정과 정의를 수호하기 위해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푸틴 대통령은 이번 방문이 양국 간 협력 전반에 걸쳐 발전하는 데 추가적인 동력을 줄 수 있길 희망한다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그는 "러시아와 중국의 관계가 기회주의적이지 않고 누구에게도 불리하게 향하지 않는다는 것이 근본적으로 중요하다. 오늘날 세계 문제에 대한 우리의 협력은 국제 무대를 안정시키는 주요 요소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이어 "러시아와 중국은 유엔, 브릭스(BRICS), 상하이협력기구(SCO)는 물론 주요 20개국(G20)에서도 성공적으로 협력하고 있다"고 했다.

한편 시 주석은 푸틴 대통령이 5선에 성공한 후 처음으로 만나는 해외 정상이 됐다. 이미 두 정상은 2022년 2월 우크라이나 전쟁 개시 직전 베이징에서 만나 "제한 없는" 협력을 선언한 바 있다.

yoonge@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