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365 코파일럿으로 기사?…39페이지 영문보고서 '뚝딱'

김현아 2024. 5. 16. 13:1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4일 한국MS 사무실서 시연
프롬프트에 용도와 목적 구체적으로
삼성SDS 패브릭스도 AI 기사쓰기
방향성은 기자가..AI 사용경험 나눠야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저를 MS 뉴스에 갓 입사한 신입 기자로 했는데요, ‘Work Trend Index 2024’란 영문 보고서를 기반으로 M365 코파일럿을 이용해 기사를 작성하는 걸 보여 드릴께요.”

지난 14일,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사무실. 출입 기자들을 대상으로 김현지 한국마이크로소프트 매니저의 M365코파일럿을 이용한 기사 자동 작성 시연이 진행됐다.

‘마이크로소프트 365(M365) 코파일럿’은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등 MS 오피스 제품에서 AI 비서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사용한 툴을 지난 4월 30일 출시한 한국어 버전이다.
[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39페이지 영문 보고서 기사 수분 내 뚝딱

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M365 코파일럿 팀즈로 들어간다 ②팀즈 내에서 외부의 웹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게 플러그인을 활성화한다 ③워드를 선택하고, 코파일럿 버튼을 눌러 선택한 문서(‘Work Trend Index 2024’)의 번역과 요약 정리를 요청하거나 바로 기사 초안 작성을 요구한다 ④나온 초안 기사를 보고 수정을 위한 추가 명령을 한 뒤 나온 기사가 만족스러우면 저장하거나 데스크에게 메일로 보낸다.

그런데, 39페이지 영문 보고서를 기반으로 기사를 작성하는데 M365 코파일럿은 수분 정도 밖에 안걸렸다. 기자가 39페이지 영문 보고서를 번역하고 중요 내용을 추려 기사 형태로 만드는 시간보다 훨씬 짧았다. 다만, 원래 보고서와 기사가 어느정도 일치하는지는 확인하기 어려웠다.

생성형AI가 그렇듯 어떤 명령어(프롬프트)를 글로 적어 넣느냐에 따라 결과물이 크게 달라진다고 한다. 김현지 매니저는 “이 결과물(기사)가 사실 정확한지는 잘 모르겠다”면서도 “중요한 건 프롬프트”라고 언급했다.

M365 코파일럿에 ‘Work Trend Index 2024’ 보고서를 기반으로 기사를 작성해 달라고 요청한 프롬프트.
M365가 위 프롬프트를 이용해 기사 초안을 작성하는 상황. 문서 위에 ‘생성중’이란 표시가 있다.


프롬프트에 용도와 목적을 구체적으로


김 매니저가 적은 프롬프트는 다음과 같았다.

‘나는 2024년 워크 트렌드 인덱스에 관한 국문 기사를 작성해야 되는 신입 기자야. 이 보고서를 한국어로 번역해 주요 내용을 기반으로 기사를 작성해줘 . 기사 분량을 한두 페이지 이내로, 작성 제목은 최대한 자극적이지만 간단명료하게 작성해 줬으면 좋겠어. 많은 이들이 관심을 가지고 내 기사를 클릭했으면 좋겠어. 차주에 발행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맞춤법, 띄어쓰기 등 검사를 진행해 주고, 비슷한 많은 글들이 있겠지만, 내가 작성한 기사가 가장 잘 도드러져 보일 수 있도록 작성해줘. 잘 부탁해.’라고 적었다.

내가 누구인지(신입 기자)는 물론, 관심 끄는 제목이나 기사 품질 관리 같은 요구도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김현지 매니저는 “코파일럿도 감정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조금 더 정중한 톤으로 프롬프트를 작성할 때 조금 더 성의 있게 답변을 내놓는 것 같다”고 말했다.

얼마 전 삼성SDS도 자사 생성형AI 플랫폼 ‘패브릭스’을 이용한 AI 기사 작성을 시연한 바 있다. ①패브릭스에 접속 ②뉴스 검색 비서 클릭 ③예시 질문 집어 넣기 ④뉴스 검색 기사 크롤링 정보+보도 자료 정보 기반으로 기사 작성 ⑤AI가 쓴 기사를 수정하고 필요시 출처 달기 순으로 진행됐다.MS와 다른 점은 사용하는 LLM(거대언어모델)이었다. M385 코파일럿은 ‘GPT-4 터보’를, 삼성SDS 패브릭스는 ‘삼성LLM’을 쓴다고 한다.

AI 자동 기사 작성 뒷 단은 어떤데?

M365 코파일럿에서 기사 작성을 위한 입력어들은 안전하게 전송되고, MS 서버에서 컴플라이언스 체크를 거친다고 한다.

김현지 매니저는 “코파일럿이 답변을 내놓는 뒷단에선 제 입력어(기사 작성 요청문)들은 암호화돼 전송되고, 전송된 프롬프트는 마이크로소프트 그래프 내에 있는 사용자 컨텍스트에 접근하게 되고, 이를 기반으로 수정된 프롬프트 형태로 LLM(오픈AI GPT-4터보)에 전달된다”면서 “LLM이 내놓은 답변은 바로 사용자에게 전달이 되는 것이 아니라 다시 한 번 수처리 과정을 통해 사용자 컨텍스트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이 때 보안이나 컴플라이언스에 대한 체크도 함께 진행된다”고 설명했다.

2024 업무동향지표


AI 사용 경험 나눠야


이번 M365 코파일럿 시연에서는 39페이지에 이르는 영문 보고서를 번역하고 요약해 기사로 작성하는 과정을 보여줬지만, 앞으로는 수백, 수천 페이지에 달하는 보고서도 요약 정리하여 순식간에 기사 형태로 만들어주는 것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이처럼 생성형 AI 기술은 언론계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데일리를 비롯한 여러 매체들이 생성형 AI를 기사 작성에 활용하거나 검토 중인 것도 같은 이유다.

그러나 스토리를 만들고 방향성을 정하는 일은 결국 기자의 역할이다. 또한, 글로 만드는 영상(TTV·Text to Video)기능의 경우 데이터 학습과 AI 생성 간의 시간 차이로 인해 최신 영상이 제공되지 않는 한계가 있다.

오성미 MS 모던워크 사업총괄은 “우리나라 기업 고객들은 외국 기업에 비해 프롬프트 공유를 거의 안한다”면서 “AI 솔루션 도입 이후가 더 중요하다. 서로의 경험을 나눠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지난 4월 30일 한국어 버전으로 출시된 M365코파일럿(기업용 버전)의 가격은 유저(직원) 1명당 월 30달러(약 4만1040원)다. 1년이면 50여만 원으로, 웬만한 기업엔 부담스럽다.

김현아 (chaos@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