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산불 피해 줄었다…2012년 이후 두 번째로 적어

이준기 2024. 5. 16. 12:5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봄철 산불 피해가 역대 두 번째로 적었던 것으로 집계됐다.

산림청은 지난 2월 1일부터 5월 15일까지 봄철 산불조심기간 중에 175건의 산불이 발생해 58㏊의 피해를 입었다고 16일 밝혔다.

이는 1986년 산불 통계 작성 이후 2012년 102건(49㏊)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피해가 적은 것이다.

올해 강수량(341㎜)과 비슷한 2016년(354㎜) 산불 피해(309건, 347㏊)를 비교해도 산불 발생 건수는 43%, 면적은 83%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산림청, 10년 평균 비교해 발생 절반 줄어
영농부산물 파쇄, ICT 활용한 신속 대응 효과
올해 봄철 산불 피해가 2012년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가장 적은 피해를 입었다. 사진은 임차헬기의 산불진화 장면. 산림청 제공
올해 봄철 산불 피해를 줄이는 데 기여한 '영농부산물 파쇄' 장면. 산림청 제공

올해 봄철 산불 피해가 역대 두 번째로 적었던 것으로 집계됐다.

산림청은 지난 2월 1일부터 5월 15일까지 봄철 산불조심기간 중에 175건의 산불이 발생해 58㏊의 피해를 입었다고 16일 밝혔다.

이는 1986년 산불 통계 작성 이후 2012년 102건(49㏊)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피해가 적은 것이다. 최근 10년 평균 산불 발생은 416건(3865㏊)에 달한 점을 감안하면, 발생 건수는 58%, 피해 면적은 98% 감소했다.

올해 건조특보 일수당 산불 발생 건수는 0.5건(21건, 40일)으로, 작년 2.6건(249건, 97일)보다 81% 줄었다. 올해 강수량(341㎜)과 비슷한 2016년(354㎜) 산불 피해(309건, 347㏊)를 비교해도 산불 발생 건수는 43%, 면적은 83%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산불 발생 감소는 범부처 협업 대응과 영농부산물 파쇄 확대 등 예방 활동이 강화됐기 때문으로 산림청은 평가했다. 주목할 점은 산불 주요 원인였던 소각산불이 올해 39건(22%)에 그쳐 10년 평균(116건, 28%) 대비 6% 감소했다. ICT를 활용한 과학적 감시와 CCTV 확대 등 정확하고 신속한 산불 대응체계 구축도 산불 감소에 기여한 것으로 산림청은 파악했다.

올해 처음 도입한 해외 임차헬기(7대)의 차질없는 운영과 유관기관 헬기공조체계 구축도 산불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한 몫했다는 게 산림청의 분석이다. 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