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고통지수, 코로나 전 수준 회복… 살림은 여전히 ‘팬데믹’

이용권 기자 2024. 5. 16. 11:5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국민이 체감하는 실업률이 개선되고, 물가상승률도 둔화하면서 체감경제고통지수가 코로나19 시기 이전 수준으로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국민이 체감하는 경제적 어려움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완화됐지만, 고용의 질 악화, 주요 품목의 물가 상승 등 개선이 필요한 부분도 여전히 남아 있다"며 "규제 혁파, 고용경직성 해소, 세제지원 등 기업들이 투자와 고용을 확대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생활물가 안정에 매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한경협, 5년간의 지수 분석
지난해 12.5… 전년보다 3.3P↓
체감실업률 하락이 주요 원인
일자리 질은 악화, 부업자 24.9%↑
체감물가상승률도 3.5%로 높아

지난해 국민이 체감하는 실업률이 개선되고, 물가상승률도 둔화하면서 체감경제고통지수가 코로나19 시기 이전 수준으로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경제 지표는 개선됐지만 고용의 질은 악화하고, 국민 소비지출 비중이 큰 분야의 물가는 상승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규제 개선 등의 정밀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16일 한국경제인협회는 ‘5년간 국민(만 15∼69세 기준) 체감경제고통지수 분석’을 통해 2023년 국민 체감경제고통지수가 전년(15.8)보다 3.3포인트 하락한 12.5로 개선됐다고 밝혔다. 국민 체감경제고통지수란 체감실업률과 체감물가상승률을 합산한 것으로 지수 값이 높을수록 국민의 경제적 어려움이 크다는 걸 뜻한다. 코로나19를 겪으면서 2020년 14.1, 2021년 15.8 등으로 치솟았다가 지난해 12.5로 떨어지면서 2018년(12.9)∼2019년(12.0) 수준으로 회복된 것이다.

한경협은 지난해 국민 체감경제고통지수가 개선된 주요 원인으로 체감실업률 하락과 체감물가상승률 둔화를 꼽았다. 체감실업률은 2018년 11.4%에서 2020년 13.6%로 증가하며 정점을 찍은 후 2023년 9%로 떨어졌다. 체감물가상승률도 2022년 5.2%까지 급등한 후 2023년 3.5%로 완화됐다.

다만, 세부지표를 보면 일자리의 질은 나빠지는 등 개선이 필요했다. 2023년 주 36시간 이상 근로자는 2051만1000명으로 5년 전(2018년, 2066만6000명)에 비해 0.8% 감소했으며, 주 36시간 미만 근로자는 2023년 605만6000명으로 5년 전(2018년, 493만6000명)에 비해 22.7% 증가했다. 또 2023년 기준 ‘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는 70만6000명으로, 5년 전(2018년 59만 명) 대비 19.7% 증가했다. 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는 아르바이트 등 단시간 근로를 하지만, 향후 더 많은 시간 근로를 희망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현재 일자리에 만족하지 않고 부업을 병행하는 부업근로자도 2018년 38만5000명에서 2023년 기준 48만1000명으로 5년간 24.9% 증가했다.

지난해 3.5%로 둔화된 체감물가상승률 또한 2018∼2020년 상승률(0∼1%대)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2023년 지출목적별 소비지출 비중은 음식·숙박 15.9%, 식료품 13.2%, 주택·수도·전기·연료 11.4% 등으로, 물가 상승이 높은 부문에 국민의 소비지출이 집중됐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국민이 체감하는 경제적 어려움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완화됐지만, 고용의 질 악화, 주요 품목의 물가 상승 등 개선이 필요한 부분도 여전히 남아 있다”며 “규제 혁파, 고용경직성 해소, 세제지원 등 기업들이 투자와 고용을 확대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생활물가 안정에 매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용권 기자 freeuse@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