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감경제고통지수, 코로나 이전 수준 회복

김경욱 기자 2024. 5. 16. 11: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민이 실업과 물가 상승 등 경제 여건에 따라 느끼는 어려움의 정도가 코로나19 대유행 이전 수준으로 완화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국민의 소비지출 비중이 높은 외식물가와 전기·수도 등 공공요금의 상승세가 높아 국민이 체감하는 물가 부담은 여전히 큰 상황"이라며 "국민이 체감하는 경제적 어려움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완화됐지만, 고용의 질 악화와 물가 상승 등과 관련해 개선해야 할 부분이 여전히 남아있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체감실업률 하락 영향…일자리 질은 '악화'
한경협 "고용 질적 개선 필요"
국민이 경제 여건에 따라 느끼는 어려움 정도가 코로나19 대유행 이전 수준으로 완화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게티이미지

국민이 실업과 물가 상승 등 경제 여건에 따라 느끼는 어려움의 정도가 코로나19 대유행 이전 수준으로 완화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물가 상승으로 인한 고통이 코로나19 이전보다 완화됐다기보다는 체감실업률이 낮아진 데 따른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옛 전경련)가 16일 발표한 체감경제고통지수를 보면, 지난해 이 지수는 12.5로 전년(15.8)에 견줘 3.3포인트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 이전 시기인 2018년(12.9), 2019년(12.0)과 비슷한 수준이다. 한경협은 체감실업률과 체감물가상승률을 활용해 15~69살 국민이 느끼는 경제적 어려움을 수치화했다.

체감경제고통지수가 전년보다 개선된 까닭으로는 체감실업률 하락이 꼽힌다. 체감실업률은 공식 실업자 통계로는 잡히지 않는 시간제 노동자, 취업준비생, 구직단념자 등을 실업자로 간주해 계산한 실업률이다.

실제로 한경협이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와 ‘가계동향조사’ 등을 바탕으로 계산한 체감실업률은 2018년 11.4%에서 2020년 13.6%로 올라 정점을 찍은 뒤, 꾸준히 낮아져 지난해에는 9.0%를 기록했다. 코로나19 이전 수준보다 안정된 모습을 보인 것이다.

반면, 지출목적별 소비지출 비중을 가중치로 둬 계산한 체감물가상승률은 2022년 5.2%까지 급등한 뒤 지난해 3.5%로 떨어졌지만, 2018∼2020년 상승률(0∼1%대)보다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다만 체감실업률 하락에도 일자리 질은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주 36시간 이상 노동자는 2051만1천명으로 5년 전인 2018년(2066만6천명) 수준이었으나, 주 36시간 미만 노동자는 지난해 605만6천명으로 22.7% 증가했다. 부업을 병행하는 사람들도 늘었다. 부업노동자는 2018년 38만5천명에서 2023년 48만1천명으로 5년간 24.9% 증가했다. 한경협은 “단시간 근로자, 부업근로자 증가 등으로 고용의 질이 저하돼 전일제 일자리 증가 등 질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지출목적별 물가상승률을 살펴보면, 의류·신발(6.7%), 음식·숙박(6.0%), 기타 상품·서비스(5.8%), 식료품(5.5%), 가정용품·가사서비스(5.4%) 순으로 물가 상승 폭이 컸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국민의 소비지출 비중이 높은 외식물가와 전기·수도 등 공공요금의 상승세가 높아 국민이 체감하는 물가 부담은 여전히 큰 상황”이라며 “국민이 체감하는 경제적 어려움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완화됐지만, 고용의 질 악화와 물가 상승 등과 관련해 개선해야 할 부분이 여전히 남아있다”고 말했다.

김경욱 기자 dash@hani.co.kr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