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국협력하면 韓 제2의 한강기적, 日 고도성장”

2024. 5. 16. 11:2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과 일본이 그동안 많은 경제협력을 해왔는데 '이대로 괜찮은가'라는 질문을 해볼 수밖에 없습니다."

이어 "심층 연구하고 그 결과를 서로 공유하며 공감대를 형성해 실제 협력이 지속돼야 한다"며 "플랫폼이 중심이 돼 양국 경제협력의 내열을 개별 기업 차원에서 산업과 경제 전반으로 좀 더 넓히자"고 강조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태원 회장 한일경제인회의서 기조연설
‘한일 경제협력 연구 플랫폼’ 구성 제안
수소 공동구매·관광상품 개발 등도 제시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이 14일 일본 도쿄에서 막을 올린 제56회 한일경제인회의에서 한국 측 기조연설자로 나서 발표하고 있다. 도쿄=김현일 기자

“한국과 일본이 그동안 많은 경제협력을 해왔는데 ‘이대로 괜찮은가’라는 질문을 해볼 수밖에 없습니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이 14일 일본 도쿄에서 막을 올린 제 56회 한일경제인회의에서 한국 측 기조연설자로 나섰다. 최 회장은 이날 210여명의 한일 경제인들이 모인 자리에서 “이대로 괜찮지 않다고 생각하면 여태까지 해보지 않았던 것을 모색할 때가 됐다”며 한일 관계가 점차 회복되고, 양국 관광객도 크게 늘어났지만 그 온기가 경제로 이어지지 못하는 점을 문제로 지적했다.

최 회장은 “두 나라가 서로에게 중요한 경제 파트너임에도 양국 교역은 10년째 제자리걸음인 데다가 과거 활발했던 양국 기업들의 제 3국 공동 진출 사업도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라며 한일 경제협력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했다. 또 ‘같은 배를 타고 함께 강을 건넌다’는 의미를 가진 사자성어 ‘동주공제(同舟共濟)’를 활용해 한국과 일본이 함께 직면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서로 힘을 합쳐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한일 경제협력 연구 플랫폼’을 만들자고 제안했다. 최 회장은 “그동안 양국 협력에 대한 많은 아이디어가 나왔지만 깊이가 좀 부족하다고 생각한다”며 “어느 한두 명의 교수나 연구자만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관련된 모든 사람들이 들어와 함께 논의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심층 연구하고 그 결과를 서로 공유하며 공감대를 형성해 실제 협력이 지속돼야 한다”며 “플랫폼이 중심이 돼 양국 경제협력의 내열을 개별 기업 차원에서 산업과 경제 전반으로 좀 더 넓히자”고 강조했다.

나아가 “한일 양국이 즉시 할 수 있는 공동 사업을 성공 사례로 축적하자”고 제안했다. 복잡하고 어려운 프로젝트 대신 쉬운 과제부터 시작해 성공 사례를 만든다면 양국 간의 신뢰를 더욱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최 회장은 ▷양국 스타트업의 공동 프로젝트 발굴 ▷고령화 대응을 위한 재택 의료 시스템 공유 ▷액화천연가스(LNG)·수소 등 에너지 공동 구매 ▷한일 동시 관광상품 개발 등을 예로 들었다.

양국 협력이 투자를 비롯해 인적교류·금융·글로벌 공급망·경제안보 등 전반에 걸쳐 더욱 강화되면 그 효과는 더욱 커질 것이라는 전망도 덧붙였다.

최 회장은 “한국과 일본이 아시아 지역 경제를 주도하고, 중국·미국·유럽연합(EU) 주요국과의 관계에서도 긴밀한 공조로 협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며 “아주 밝은 미래를 그려본다면 한국은 ‘제2의 한강의 기적’을, 일본은 ‘제2의 고도 성장’을 이뤄낼 수 있다”고 말했다. 도쿄=김현일 기자

joze@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