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 퇴소했지만 현실은 냉혹…자립준비청년의 홀로서기

이예린 2024. 5. 16. 07:4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잘 살아보려고 노력했지만 인생을 바꿀 수 없는 거 같다.

지난해 여름, 보육시설을 나선 지 2년 된 22살 청년은 이렇게 세상에 마지막 말을 남겼습니다.

성인이 돼 보금자리였던 보호시설을 떠나 사회에서 홀로 서기를 준비하는 자립 준비 청년이었습니다.

이런 자립 준비 청년은 매년 2천 명 가량이라고 합니다.

정부에서는 안정적 사회 정착을 위해 자립 정착금과 주거 지원, 자립 수당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자립을 준비하는 청년들의 이야기, 먼저, 이예린 기자가 안정적인 일자리를 통해, 진정한 자립을 꿈꾸는 청년들을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몇 년 전, 보육시설을 퇴소한 자립준비청년 A 씨.

최근 기초생활수급자 자격을 잃었다는 통보를 받았습니다.

특별한 수입이 없었지만, 로스쿨을 준비하려 대학을 휴학한 게 문제가 됐습니다.

[A 씨/자립준비청년/음성변조 : "(휴학을 하면) 근로 능력이 있다고 판단을 나라에서 하기 때문에…."]

자활 사업에 참여하면 조건부로 자격을 유지할 수 있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습니다.

[A 씨/자립준비청년/음성변조 : "보통 주에 30시간 이상은 자활사업에 참여를 해야 한다는 걸로 알고 있는데. 저는 그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휴학을 하고 공부를 하고 있는데…."]

아르바이트를 해서 집세 등을 내고 나면, 남는 생활비는 고작 30만 원에 불과합니다.

[A 씨/자립준비청년/음성변조 : "최근에 아파서 병원비가 좀 많이 들어갔었거든요. 생활비적인 측면에서도 조금 힘들어지게 되더라고요."]

가정위탁이 종료된 뒤 지금은 체육 강사로 일하는 B 씨.

생활체육지도사 자격증을 따 노인체육 전문가가 되는게 꿈입니다.

[B 씨/자립준비청년/음성변조 : "저는 지금 일을 안 하면 앞으로 하루 살기도 힘들어서. 퇴근하고 집 와서 1시간 꼬박 (공부) 해도 부족하고…."]

생활비가 부족해 식당 아르바이트까지 했는데, 역시 수급자에서 탈락했습니다.

[B 씨/자립준비청년/음성변조 : "돈도 많이 버는 게 아닌데 이렇게 끊기는 게 맞나 싶기도 해요."]

자립준비 청년의 3명 가운데 1명은 월 소득이 100만 원도 되지 않습니다.

취업을 한 자립준비청년 절반 이상은 서비스업과 단순 노무직 등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자립준비청년의 사회 정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안정적 일자리가 필요한 상황.

하지만 생활고로 제대로 된 사회진출 준비를 못하면서 자립준비청년의 홀로서기는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예린입니다.

촬영기자:김경민 정준희/영상편집:한효정/그래픽:박미주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이예린 기자 (eyerin@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