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 퇴소했지만 현실은 냉혹…자립준비청년의 홀로서기
[앵커]
잘 살아보려고 노력했지만 인생을 바꿀 수 없는 거 같다.
지난해 여름, 보육시설을 나선 지 2년 된 22살 청년은 이렇게 세상에 마지막 말을 남겼습니다.
성인이 돼 보금자리였던 보호시설을 떠나 사회에서 홀로 서기를 준비하는 자립 준비 청년이었습니다.
이런 자립 준비 청년은 매년 2천 명 가량이라고 합니다.
정부에서는 안정적 사회 정착을 위해 자립 정착금과 주거 지원, 자립 수당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자립을 준비하는 청년들의 이야기, 먼저, 이예린 기자가 안정적인 일자리를 통해, 진정한 자립을 꿈꾸는 청년들을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몇 년 전, 보육시설을 퇴소한 자립준비청년 A 씨.
최근 기초생활수급자 자격을 잃었다는 통보를 받았습니다.
특별한 수입이 없었지만, 로스쿨을 준비하려 대학을 휴학한 게 문제가 됐습니다.
[A 씨/자립준비청년/음성변조 : "(휴학을 하면) 근로 능력이 있다고 판단을 나라에서 하기 때문에…."]
자활 사업에 참여하면 조건부로 자격을 유지할 수 있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습니다.
[A 씨/자립준비청년/음성변조 : "보통 주에 30시간 이상은 자활사업에 참여를 해야 한다는 걸로 알고 있는데. 저는 그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휴학을 하고 공부를 하고 있는데…."]
아르바이트를 해서 집세 등을 내고 나면, 남는 생활비는 고작 30만 원에 불과합니다.
[A 씨/자립준비청년/음성변조 : "최근에 아파서 병원비가 좀 많이 들어갔었거든요. 생활비적인 측면에서도 조금 힘들어지게 되더라고요."]
가정위탁이 종료된 뒤 지금은 체육 강사로 일하는 B 씨.
생활체육지도사 자격증을 따 노인체육 전문가가 되는게 꿈입니다.
[B 씨/자립준비청년/음성변조 : "저는 지금 일을 안 하면 앞으로 하루 살기도 힘들어서. 퇴근하고 집 와서 1시간 꼬박 (공부) 해도 부족하고…."]
생활비가 부족해 식당 아르바이트까지 했는데, 역시 수급자에서 탈락했습니다.
[B 씨/자립준비청년/음성변조 : "돈도 많이 버는 게 아닌데 이렇게 끊기는 게 맞나 싶기도 해요."]
자립준비 청년의 3명 가운데 1명은 월 소득이 100만 원도 되지 않습니다.
취업을 한 자립준비청년 절반 이상은 서비스업과 단순 노무직 등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자립준비청년의 사회 정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안정적 일자리가 필요한 상황.
하지만 생활고로 제대로 된 사회진출 준비를 못하면서 자립준비청년의 홀로서기는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예린입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이예린 기자 (eyerin@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푸틴 대통령 베이징 도착…양국, 미국과 대립각 부각할 듯
- [단독] “김호중이 대리 출석 요청 녹취 있다”…운전자 바꿔치기 소속사 개입 정황
- 미 소비자 물가 상승률 올해 첫 하락…주가 사상 최고치 경신
- 슬로바키아 총리, 총기 피격에 위중…“명백한 암살 시도”
- “단체 사진에 왜 우리 애 없냐”…두 달 뒤 보내온 협박 편지 [잇슈 키워드]
- 4,100만 원 잃을 뻔한 현역 군인…극적으로 막은 사연 [잇슈 키워드]
- “층간소음 자제 부탁”…“그럼 개인 주택 살아야” [잇슈 키워드]
- “신선”·“지옥 불?”…찰스 3세 초상화에 반응 엇갈려 [잇슈 SNS]
- 조선시대 서울 집값은?…여성·노비도 집 있었다
- “10명 중 2명은 연락두절”…자립 전부터 지원 나서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