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전략] S&P500 지수, 첫 5300선 돌파…강세장 기대감 커지나

김종윤 기자 2024. 5. 16. 07:18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모닝벨 '전문가 전화 연결' - 김민수 레몬리서치 대표

Q. 뉴욕증시가 사상 최고치 기록을 새로 썼습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가 예상치를 밑돌면서 안도 랠리를 보였는데요. 오늘(16일) 장 움직임부터 짚어 주시죠?

- 뉴욕증시, 4월 CPI 둔화에 안도 랠리…사상 최고치
- S&P500, 5300 돌파…나스닥 이틀 연속 최고치 행진
- 2분기 안정된 물가…인플레 재발 우려 일단은 완화
- 美 4월 근원 CPI 상승률 전년비 3.6%…3년 만에 최저
- 근원 CPI 전월비 상승률 0.3%…직전월 0.4%보다 낮아
- 4월 헤드라인 CPI 전월비 0.3%·전년비 3.4% 상승
- 공식 석상에 나선 파월 의장 "금리 인상 가능성 낮아"
- "4월 PPI 예상보다 높았지만 3월 수치 낮아져 혼재"
- CPI 공개 이후 금리인하 기대감에 美 국채금리 하락
- 美 10년물 국채금리 10bp 하락, 4.34%선 움직임
- 지난달 美 소매판매도 정체…경기 냉각 신호로 분석
- 금리인하 베팅 확대…9월 인하 가능성 75.3% 반영
-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 주시…고용시장 추이 확인
- 게임스탑, 사흘 만에 하락 반전…주가 30% 이상 폭락
- 美, 中에 '관세 폭탄'…전기차 4배·반도체 2배로
- 美, 중국산 전기차 관세 25%에서 100%로 대폭 인상
- 바이든 정부 '동맹국도 동참' 압박…中, 보복 시사
- 22일 실적 발표 앞둔 엔비디아, 반도체 상승 주도
- 델, 사상 최고치 마감…시가 총액 1000억 달러 돌파
- 국제유가, 美 CPI 둔화·원유 재고 감소에 1%대 상승

Q. 뉴욕증시가 최고치 랠리를 보이면서 월가에서는 장밋빛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랠리 이어갈지,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 다우 지수도 강세…사상 최고치까지 0.5%가량 남았다
- 4월 CPI 둔화, 연준 금리인하 기대감 커지자 랠리
- CFRA "S&P500 올해 5400 돌파 가능"
- 실적 기대감·인플레 둔화…"연말까지 랠리 지속"
- S&P500, 빅테크 랠리 덕에 연초 대비 11% 이상 올라
- 월가 "증시 강세장 향후 12개월 동안 지속될 것"

Q. 최근 코스피 지수는 좁근 박스권에 갇혀 지루한 등락을 보이고 있는데요. 하루 쉬고 돌아온 우리 증시도 CPI 호재에 반응할 텐데요. 2800 돌파 전망이 나오고 있는데 가능할지?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 좁은 박스권에 갇힌 코스피, 2800 돌파는 언제쯤?
- 외국인, 이달 들어 9일 제외 순매수 행진 이어가
- 물가·금리·환율 등 불확실성 해소 시 상승 탄력
- 실적 기준 'PBR 1배' 2750선이 밸류에이션 분기점
- 美 4월 CPI 둔화 확인, 코스피 2800 돌파 시도
- "예상보다 좋다"…시총 상위 대형주 목표주가 줄상향
- 코스피 시총 상위 20개 사 중 14개 사 목표주가 상향
- 금융지주 약진…메리츠금융·하나금융 등 밸류업 반영
- '저PBR' 관련주 자동차주도 목표주가 상승률 상위
- 증권가, 하반기 코스피 지수 밴드 2500~3110 예상
- "美 연준 금리 방향과 시점에 주목…하반기 최대 변수"
- 향후 고려 요인 中 제조업 경기·美 대선 등 꼽혀
- 반도체·조선·자동차 등 유망…소외 성장주도 주목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https://url.kr/9pghjn

짧고 유익한 Biz 숏폼 바로가기

SBS Biz에 제보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