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마켓워치]늦어지는 금리인하..P-CBO 금리 상승

강구귀 2024. 5. 16. 05:1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금리인하 시기가 지연되면서 신용보증기금이 공급하는 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P-CBO)의 금리가 상승세로 돌아섰다.

IB업계 관계자는 "건설업종을 중심으로 P-CBO를 통한 자금조달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가산금리를 포함해도 저금리인 데다 안정적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통로로 인식되기 때문"이라며 "금리가 대폭 내리지 않는 한 P-CBO 금리도 한계가 있는 만큼 리스크에 대비해 본격적인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시각도 있다"고 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리스크 대비 본격적 '구조조정' 필요
[fn마켓워치]늦어지는 금리인하..P-CBO 금리 상승
[파이낸셜뉴스] 금리인하 시기가 지연되면서 신용보증기금이 공급하는 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P-CBO)의 금리가 상승세로 돌아섰다.

신보의 유동화회사보증은 개별기업이 발행하는 회사채 등을 기초자산으로 유동화증권을 발행, 기업이 직접금융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다.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에 자금을 조달을 할 수 있어 '시장 안전판'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1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신보2024제7차'의 선순위(614억원) 금리는 AAA급 회사채 3년물 기준금리에 가산이 없는 3.852%다. 직전인 '신보2024제3~4차' 선순위 3.738% 대비 소폭 상승이다.

차환 목적인 '신보2024제8~9차'의 선순위(1271억원, 1653억원) 금리도 AAA회사채2년물 기준금리에 가산이 없는 3.773%다. 직전인 '신보2024제5~6차' 선순위 3.702% 대비 상승으로 돌아섰다.

올해 1~2월 발행한 1~2차의 선순위 금리는 3.810%, 3.805%였던 것을 고려하면 상승 추세로 전환이 주목된다. 시장에서는 연초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오는 6월부터 연내 총 125bp(1bp=0.01%)를 인하할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하지만 5월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기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후 연내 금리 인하 기대감이 꺽였다.

당시 연준은 정책금리를 5.25~5.50%에서 유지하기로 만장일치로 결정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금리를 인하하기 위해선 2% 목표를 향한 디스인플레이션 진전에 대한 강한 확신이 필요한데, 얼마나 오랜 시간이 걸릴지 알 수 없다"고 발언키도 했다.

다만 시장의 금리인하 기대는 여전하다. CME그룹의 페드와치툴에 따르면 오는 9월에 미 연준이 금리를 25bp 인하할 확률은 49.1%로 조금 높아진 상황이다. 고용시장이 약해지면 금리인하에 나설 수 있다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도 이를 뒷받침한다.

이는 P-CBO 가산금리 0bp에서도 볼 수 있는 부분이다. 선순위 기준으로 2022년 75bp까지 올랐다가 5bp로 내려왔으나 2023년 말에는 다시 15bp까지 치솟았다. 올해 들어선 1월 4bp, 2월 1bp, 3월 2bp에서 4월 0bp였다.

후순위 금리는 올해 1월 4.110%에서 2월 4.105%, 3월 4.038~4.102%에서 변동적이다. 4월 4.073~4.242%를 기록했다. 선순위 대비 가산금리는 30~40bp였다.

실제로 가람에스티의 P-CBO(6억8000만원 규모)의 표면이자율은 연 7.10%, 기광산업 2년물 P-CBO(8억1000만원 규모)는 연 7.3%다. 내자인, 다윈씨앤아이, 동방자원 등의 2년물 P-CBO 금리는 연 7.3~7.4%였다.

P-CBO는 신보가 유사시 대위변제를 해주는 만큼 시중의 조달금리보다 낮아 기업들에게 '안전판'으로 불린다. 올해 신보는 신규 목적 2조5000억원, 차환 목적 2조4000억원 등 총 4조9000억원어치를 발행할 계획이다. 지난해(4조8000억원)보다 소폭 늘어난 수준이다.

IB업계 관계자는 "건설업종을 중심으로 P-CBO를 통한 자금조달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가산금리를 포함해도 저금리인 데다 안정적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통로로 인식되기 때문"이라며 "금리가 대폭 내리지 않는 한 P-CBO 금리도 한계가 있는 만큼 리스크에 대비해 본격적인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시각도 있다"고 전했다.

#P-CBO #신용보증기금

ggg@fnnews.com 강구귀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