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령 누벨칼레도니 유혈 소요사태…마크롱, 급거 일정 취소(종합)

박의래 2024. 5. 15. 17:2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통령실 "3명 사망" …130명 이상 체포·프랑스, 경찰 추가파견
프랑스 하원, 투표권 확대 개헌안 통과…원주민 "누메아 협정 위반"
佛 "경관 100명 등 수백명 부상"…마크롱, 긴급 안보회의 주재
프랑스령 누벨칼레도니 소요 사태 (누메아 AFP=연합뉴스) 14일(현지시간) 프랑스 남태평양 해외영토 누벨칼레도니 수도 누메아에서 대규모 소요 사태가 발생하며 도로에 불이 붙어 있다. 2024.5.15. photo@yna.co.kr

(자카르타·런던=연합뉴스) 김지연 박의래 특파원 = 프랑스령 누벨칼레도니(영어명 뉴칼레도니아)에서 대규모 소요 사태가 계속되면서 3명이 사망하는 등 유혈사태로 확산하고 있다.

프랑스 정부는 경찰을 추가 파견하기로 했으며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지방 방문을 취소하고 긴급 회의를 소집하는 등 대응에 나섰다.

15일(현지시간) AFP·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수도 누메아에서는 야간 통행 금지령이 내려졌음에도 전날 밤과 이날 새벽 복면을 쓴 이들이 상점을 약탈하고 길거리 차에 불을 지르는 등 폭력 사태가 이어졌다.

누벨칼레도니 대통령실은 이번 소요 사태로 3명이 사망했다며 사망자는 모두 원주민 카나크족 주민이고, 사망자 중 1명은 총에 맞아 숨졌다고 주장했다.

다만 누벨칼레도니 주재 프랑스 고등판무관실은 사망자가 2명으로 확인됐고, 이 중 1명은 총에 맞아 숨진 채 발견됐다며 경찰에 쏜 총에 맞은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또 이번 소요 사태로 130명 이상이 체포됐고 수십명의 폭도가 구금돼 법원에 출두하게 됐으며 경찰 다수가 다치는 등 심각한 공공 소요가 계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야간 통행과 주류 판매, 무기 소지 금지령을 연장한다며 추후 공지가 있을 때까지 학교와 주요 공항이 문을 닫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제랄드 다르마냉 프랑스 내무장관은 소요 사태로 경찰관 약 100명을 포함해 수백 명이 다쳤다고 밝혔다.

프랑스 정부도 누벨칼레도니로 기동 헌병대 4개 중대를 추가 파견해 치안 유지에 나서기로 했다.

가브리엘 아탈 프랑스 총리는 누벨칼레도니 주민 대표들을 파리로 초청해 대화할 계획이라며 "대화를 통해서만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프랑스령 누벨칼레도니 소요 사태 (누메아 AFP=연합뉴스) 15일(현지시간) 프랑스 남태평양 해외영토 누벨칼레도니 수도 누메아에서 대규모 소요 사태가 발생하며 상점들이 문을 닫자 문을 연 약국 앞에 사람들이 줄을 서서 기다리고 있다. 2024.5.15. photo@yna.co.kr

누벨칼레도니에서 대규모 소요 사태가 벌어진 것은 프랑스가 헌법을 개정, 이곳에서 실시되는 지방 선거의 유권자를 확대하려고 해서다.

프랑스는 1853년 누벨칼레도니를 식민지로 병합했지만 1988년 마티뇽 협정과 1998년 누메아 협정을 통해 누벨칼레도니에 상당 부분 자치권을 이양했다.

또 누메아 협정에 따라 프랑스는 헌법에서 누벨칼레도니 지방 의회 선출 선거인단을 1999년에 정한 유권자 명부로 한정했다. 누메아 협정 이후 프랑스 본토나 다른 곳에서 이주한 이들에게 투표권을 주지 않기 위해서다.

하지만 프랑스는 누메아 협정으로 인해 누벨칼레도니 내 성인 20%가 투표에서 배제되는 것은 불합리하다며 헌법을 개정, 누벨칼레도니에서 10년 이상 거주한 사람에게는 투표권을 주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에 누벨칼레도니 전체 인구 28만 명 중 약 40%를 차지하는 원주민 카나크족은 유권자 확대가 누메아 협정 위반이며 결국 친프랑스 정치인들에게만 유리한 정책이라고 반대한다.

이런 가운데 프랑스 하원은 이날 오전까지 토론을 벌인 끝에 누벨칼레도니 유권자 확대 개헌안을 통과시켰다.

이에 마크롱 대통령은 헌법 개정을 위한 양원 합동회의를 서두르지 않겠다고 밝혔다. 프랑스에서 헌법을 개정하려면 상·하원이 동일 문구의 개헌안을 의결하고, 양원 합동회의에서 5분의 3 이상이 찬성해야 한다.

마크롱 대통령은 또 누벨칼레도니 대표들에게 서한을 보내 "침착하라"며 폭력 사태는 "용인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15일 오전 노르망디를 방문하려던 계획을 취소하고 긴급 국방·국가안보 회의를 주재한다고 엘리제궁이 밝혔다.

이에 누벨칼레도니의 독립을 지지하는 정치단체 카나크 사회주의 해방전선(FLNKS)은 성명을 통해 프랑스의 대화 제안을 받아들이겠다며 "누벨칼레도니가 해방을 향한 길을 갈 수 있도록 합의를 위해 노력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누벨칼레도니는 누메아 협정에 따라 2018년과 2020년, 2022년 3차례에 걸쳐 독립 여부를 묻는 주민투표를 실시했지만 3차례 모두 독립 반대 결과가 나왔다.

검은 연기 피어오르는 프랑스령 누벨칼레도니 수도 (누메아 AFP=연합뉴스) 14일(현지시간) 프랑스 남태평양 해외영토 누벨칼레도니 수도 누메아에서 대규모 소요 사태로 상점과 차량 등이 불타며 검은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2024.5.15. photo@yna.co.kr

laecorp@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