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떼루 아저씨' 김영준 레슬링 해설가 별세

임정우 기자(happy23@mk.co.kr) 2024. 5. 15. 16:5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빠떼루 아저씨'라는 별명을 갖고 있는 TV 레슬링 해설가 김영준 전 경기대 스포츠과학대학원 교수가 15일 지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1948년 전북 부안에서 태어난 고인은 "공부 열심히 해서 면서기가 돼라"는 부친의 뜻과 다르게 고교에서 레슬링을 시작했다.

160㎝ 단신에 68㎏으로 손가락도, 다리도, 목도 짧은 전형적인 레슬링 선수의 체격이었던 고인은 1970년 방콕아시안게임에서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안게임 동메달리스트
국가대표 감독으로도 활약

'빠떼루 아저씨'라는 별명을 갖고 있는 TV 레슬링 해설가 김영준 전 경기대 스포츠과학대학원 교수가 15일 지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향년 76세.

1948년 전북 부안에서 태어난 고인은 "공부 열심히 해서 면서기가 돼라"는 부친의 뜻과 다르게 고교에서 레슬링을 시작했다. 160㎝ 단신에 68㎏으로 손가락도, 다리도, 목도 짧은 전형적인 레슬링 선수의 체격이었던 고인은 1970년 방콕아시안게임에서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1972년 뮌헨올림픽과 1974년 테헤란아시안게임에는 국가대표로 출전한 바 있다.

은퇴한 뒤 1976년 대한주택공사에 들어간 고인은 1997년까지 호남지사 과장, 연구관리부장, 홍보실장 등으로 일했다. 1983년과 1984년에는 레슬링 국가대표 자유형 감독으로도 활약했다. 1984년 LA올림픽 때 금메달을 확정한 유인탁을 목에 태우고 경기장을 돈 게 고인이었다.

레슬링 해설은 1984년부터 시작해 1986년 서울아시안게임, 1988년 서울올림픽, 1992년 바르셀로나올림픽, 1994년 히로시마아시안게임, 1996년 애틀랜타올림픽으로 이어졌다. 관심을 받기 시작한 건 "아, 이럴 땐 빠떼루를 주얍니다"라고 해설했던 애틀랜타올림픽 때다. 당시 PC통신에는 '빠떼루 아저씨 전용 게시판'이 개설될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다.

[임정우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