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인데 벌써 동양하루살이·러브버그…빨라진 벌레의 습격

김주연 2024. 5. 15. 16: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때 이른 더위에 동양하루살이나 러브버그 등 벌레가 예년보다 일찍 출몰하고 있다.

몸집에 비해 큰 날개가 달려 이른바 '팅커벨'로 불리는 동양하루살이는 보통 5월 말 쯤부터 떼로 목격됐는데, 올해는 보름 정도 일찍 등장했다.

성동구는 강가에 불빛으로 벌레를 유인하는 친환경 해충퇴치기를 설치하고, 동양하루살이가 모이는 수풀 등에 방역 소독을 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경기, 동양하루살이…충청, 러브버그
살충제 말고 물 뿌리는 등 물리적 퇴치를
경의중앙선 열차 내부에 몰려든 동양하루살이 떼. 엑스(X) 캡처

때 이른 더위에 동양하루살이나 러브버그 등 벌레가 예년보다 일찍 출몰하고 있다. 서식 지역도 예년보다 넓어졌다는 반응이 나온다. 이들 곤충은 몸집이 커 불편함과 불쾌감을 느끼는 이들이 적지 않지만, 해충이 아니므로 방역에는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동양하루살이가 서울 용산구, 마포구, 성동구 등 서울과 경기의 강변 지역과 인근 도심에서 발견되면서 일대 상인이나 주민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몸집에 비해 큰 날개가 달려 이른바 ‘팅커벨’로 불리는 동양하루살이는 보통 5월 말 쯤부터 떼로 목격됐는데, 올해는 보름 정도 일찍 등장했다. 한강 변을 따라 운행하는 경의중앙선 열차 내부 벽에도 동양하루살이가 붙어 있는 모습을 찍은 사진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여럿 올라오기도 했다.

짝을 지어 날아다녀 ‘러브버그(사랑벌레)’라는 별칭이 붙은 털파리류 벌레도 벌써 등장을 시작했다. 충북 청주와 대전, 세종 등에서는 지난해 서울과 경기에서 목격된 붉은등우단털파리와 비슷한 검털파리가 집단으로 나타났다. 서울 은평구 등에서도 러브버그가 목격되고 있다. 러브버그는 2022년엔 7월초에, 2023년엔 6월부터 출몰했는데, 올해는 5월로 출몰 시기가 앞당겨지는 모양새다.

이동규 고신대 보건환경학부 교수는 “올 4월 기온이 예년보다 높은데다 4월 말부터 강풍도 잦아 날개가 큰 동양하루살이의 개체수가 늘고 넓은 곳으로 퍼졌을 가능성이 있다”면서 “러브버그는 기온이 높은 남쪽부터 발견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봤다.

벌레 떼가 불쾌하다는 주민들의 민원이 잇따르면서 일부 자치구들이 방역에 나서고 있다. 성동구는 강가에 불빛으로 벌레를 유인하는 친환경 해충퇴치기를 설치하고, 동양하루살이가 모이는 수풀 등에 방역 소독을 하고 있다. 충주와 청주시도 러브버그가 늘자, 긴급 방역에 나섰다.

하지만 2급수 이상의 깨끗한 하천에서 서식하는 동양하루살이는 입이 퇴화돼 감염병을 옮기지 않는 데다가 물고기의 먹이도 된다. 러브버그도 질병을 옮기지 않고 썩은 식물을 처리하기도 한다.

전문가들은 화학적 퇴치보다는 구강청결제 등을 섞은 물을 뿌리는 등 물리적 퇴치를 권한다. 생존 기간이 짧은 만큼 방충망 등을 보강해 출입을 막는 게 최우선이다. 이 교수는 “불빛으로 유인하는 트랩을 강변에 설치하는 건 효과가 있지만, 동양하루살이는 일반적 농도의 약재로는 잘 죽지 않고 수명이 끝나 죽는 것”이라면서 “생태계에도 좋은 역할을 하는 곤충에 대한 방역은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주연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