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장교사 하기 싫어요" 초등교사 80%가 기피하는 이유는…

한경우 2024. 5. 15. 15: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초등교사 10명 중 8명은 '부장 교사'를 비롯한 보직교사를 맡지 않으려 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15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김유리 서울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 연구위원, 이상철 부산교육연구소 소장, 송영미 서울삼일초 교장으로 구성된 연구팀이 쓴 '보직교사 제도 개선 방안 연구: 초등교원의 인식을 중심으로'라는 제목의 논문에는 이 같은 내용의 초등교사 5362명의 설문조사 결과가 담겼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초등교사 10명 중 8명은 ‘부장 교사’를 비롯한 보직교사를 맡지 않으려 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15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김유리 서울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 연구위원, 이상철 부산교육연구소 소장, 송영미 서울삼일초 교장으로 구성된 연구팀이 쓴 '보직교사 제도 개선 방안 연구: 초등교원의 인식을 중심으로'라는 제목의 논문에는 이 같은 내용의 초등교사 5362명의 설문조사 결과가 담겼다.

설문조사는 작년 6월16~21일 서울 시내 초등학교 교장 309명,교감 405명, 보직교사 2317명, 일반교사 2331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보직교사와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2024학년도 보직교사를 할 의향이 있는지를 묻자 78.8%가 '없다'고 답했다. 이유를 세 가지 고르도록 한 설문에서 ‘과중한 업무와 그 책임’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72.7%에 달했다. '낮은 처우(보직 수당, 혜택 등)'(63.0%),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 희망'(31.7%) 등이 뒤를 이었다.

보직교사를 희망하는 응답자들의 40.5%는 ‘승진 가산점 및 교육 전문직원 선빌 시험 가산점’을 희망 이유라고 답했다. '업무 수행 보람과 학교에 기여'(38.8%), '보직 수당 및 성과 상여금'(23.6%)도 보직교사를 맡으려는 이유로 꼽혔다. '거절의 어려움' 때문이라는 응답이 14.8%안 점도 눈길을 끌었다.

보직교사 보직을 선호할 수 있는 방안(복수 응답)에 대해서는 ‘보직 수당 인상’이라는 응답비율이 92.5%였다. '업무 간소화(공문 대폭 축소·44.5%), '전보 시 우대'(32.5%) 등이 뒤를 이었다.

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