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ICT 수출 전년比 33.8% ↑…반도체 수출도 '훨훨'

심지혜 기자 2024. 5. 15. 11: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나라의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액 6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인공지능(AI) 시장 성장과 함께 정보기술(IT) 수요 회복으로 반도체 수요가 늘어난 데 이어 디스플레이, 휴대폰, 컴퓨터 및 주변기기 등 주요 품목 수출액이 고루 늘었다.

AI 시장 성장과 휴대폰, PC 등 IT기기 수요 회복 등에 따른 반도체 수요 확대로 전체 반도체 수출은 지난해 11월 이후 6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세를 나타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ICT 수출입 동향 발표…수출 170.8억 달러·무역수지 55.2억 달러 흑자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주요 품목 전반 증가…수출 6개월 연속 증가


[서울=뉴시스]심지혜 기자 = 우리나라의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액 6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인공지능(AI) 시장 성장과 함께 정보기술(IT) 수요 회복으로 반도체 수요가 늘어난 데 이어 디스플레이, 휴대폰, 컴퓨터 및 주변기기 등 주요 품목 수출액이 고루 늘었다.

1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ICT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4월 수출액은 170억8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33.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 3월 이후 첫 30%대 증가율이자 올해 최대 증가율이다.

수입액은 115억6000만 달러이며 무역수지는 55억2000만 달러 흑자로 잠정 집계됐다.

구체적으로 반도체 부문 수출액은 99억6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53.9% 늘었다. AI 시장 성장과 휴대폰, PC 등 IT기기 수요 회복 등에 따른 반도체 수요 확대로 전체 반도체 수출은 지난해 11월 이후 6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세를 나타냈다.

특히 메모리는 고정 거래가격 상승 및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고부가 품목 수요 증가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하며 반도체 수출 증가폭을 키웠다.

디스플레이는 전년 동월 대비 15.2% 증가한 16억4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TV·PC 등 IT 기기 수요 회복세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및 액정디스플레이(LCD) 수출이 동시에 증가, 3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율을 나타냈다.

같은 기간 휴대폰은 15.3% 증가한 9억3000만 달러다. 중국(홍콩 포함), 베트남 등 주요 휴대폰 제조 기지가 위치한 지역을 중심으로 부분품(6억6000만 달러, 38.3%↑) 수출이 증가하면서 전체 휴대폰 수출 증가를 견인했다. 이로 인해 휴대폰 수출이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할 수 있었다.

컴퓨터·주변기기는 55.9% 늘어난 9억1000만 달러다. 주변기기 내 보조기억장치인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수출액(6억 달러)이 전년 동월 대비 107% 증가한 영향이 컸다.

이 가운데 통신장비만 주춤했다. 4월 수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3.5% 감소한 1억9000만 달러다. 베트남등 일부 지역은 증가(17.8%↑) 했으나, 중국(홍콩 포함, 40.1%↓), 유럽(8.1%↓) 등이 감소하면서 전체 수출액이 하락했다.

지역별로는 중국(홍콩 포함) 43.7%, 베트남 22.4%, 미국 24.6%, 유럽연합 15.5%, 일본 9.1% 등 모두 각각 전월 대비 증가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iming@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